•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立巖 南廷瑀의 交遊關係와 學問世界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3.03
29P 미리보기
立巖 南廷瑀의 交遊關係와 學問世界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명학연구 / 37권
    · 저자명 : 김봉곤

    목차

    1. 머리말
    2. 立巖의 生涯와 交遊關係
    3. 立巖의 學問世界와 그 特徵
    4. 맺음말

    초록

    이 글은 한말과 일제시대에 주리론과 위정척사사상을 고수하였던 의령의 입암 남정우의 교유관계와 학문세계를 분석한 것이다. 입암은 영남의 盧沙 학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인물로서 寒洲 학파의 인물과 교유가 깊었기 때문에, 한말 유학계를 대표하는 두 학파의 상호교류나 학설의 발전을 살피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
    입암은 노사학맥에서는 노백헌 정재규, 農山 鄭冕圭, 한주 학맥에서는 俛宇 郭鍾錫, 弘窩 李斗勳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이에 그의 성리설은 노사학설과 한주학설이 종합되어 나타난다. 그는 노백헌과 농산의 학설을 한주의 학설과 동일한 心卽理와 理體理用으로 이해하였다. 한주의 심즉리설은 본래 노사의 리주재와 이일분수의 관점을 보다 발전시킨 것이기 때문에 노백헌이 한주의 설을 수용하는데 큰 무리가 없었다. 입암은 허령도 아예 리로 이해하여 노백헌의 심설에서 논란이 되었던 리의 작용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에 입암의 심성론은 곧바로 기의 작용을 중시하였던 夷川 南昌熙 등에 의해 심은 기로 보아야 한다는 반박을 받기도 하였으나, 노백헌의 뒤를 이었던 농산이나 송산 등의 지지를 받아 심즉리설이 노백헌의 정통설로 굳어지게 되었다.
    또한 입암은 심을 리의 차원으로 이해하였기 때문에 敬을 통해 인심을 억제하고 도심을 온전히 발현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매사에 선악을 구분하여 절대선을 지향하고자 하였으며,예설에서도 명분이 바르지 않으면 의리에 부당하다고 하여 명분에 입각한 예설을 따랐다. 이러한 입암의 학문은 주자와 노사, 노백헌의 학풍을 계승하여 이기, 심성에서의 주리설과 경을 통한 수양을 중시하였으며, 사상적으로는 衛正斥邪를 고수하였다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takes a close look at Ipahm Nam Jeong-Wu from Euiryeong with an investigation into his social intercourse and his literary world. He firmly adhered to the doctrine of Ju-li(主理) and Wi-jeong-cheok-sa(衛正斥邪), at the tailend of Joseon Dynasty and during Japanese occupation. Since his place in Yeongnam's Nohsa line of scholars is more than secure, along with his forming close ties to the Hanju line, it would contribute greatly to understanding interactions and advances in theories between these two most notable schools representing Confucian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Ipahm would be influenced by the likes of Nobaekheon Jeong Jae-Gyu and Nongsan Jeong Myeon-Gyu from the Nohsa line, while from the Hanju shool Myeonwu Gwak Jong-Seok and Hongwa Lee Du-Hun's influences would weigh heavily upon him. Consequently, his theory of Xing-li(性理) brings to light both Nohsa and Hanju line of thought. He perceived that theories by Nobaekheon and Nongsan, as did Hanju's theories, were arrived at by way of Xin-ji-li(心卽理) and Li-ti-li-yong(理體理用). It was in no way difficult for Nobaekheon to accept Hanju's theories since Hanju's theory of Xin-ji-li was inherently an extension of Nohsa's position on Li-zhu-zai(理主宰) and Li-yi-fen-shu(理一分殊). Ipahm sought to solve the problem of the workings of Li(理), which had been a controversial issue in Nobaekheon's Xin theory(心說), by apprehending even Xu-ling(虛靈) as Li. Ipahm's Xinxing(心性) doctrine which advocated the Xin-ji-li standpoint would be refuted by the likes of Yicheon Nam Chang-Hui who argued that Xin should be regarded as Qi(氣). However, support by Nongahm along with Songsan and others would cement Xin-ji-li theory as being the orthodox theory of Nobaekheon.
    Furthermore, since Ipahm perceived Xin in terms of Li, he strived to suppress Renxin(人心) by way of Jing(敬) and sought manifestations of a well-balanced Taoxin(道心). Accordingly, he sought after the absolute good by way of distinguishing virtue from vice in everything. Even in Yeseol(禮說: Theoretic studies on propriety) he adhered to it emphasizing moral obligations by insisting that if justification cannot be provided it was unacceptable to one's sense of duty. Ipahm, by carrying on the academic traditions of Nohsa and Nobaekheon, would lay emphasis on self-discipline by way of Jing(敬) along with Ju-li doctrine based on Li-qi(理氣) and Xinxing(心性). Adhering to the Wi-jeong-cheok-sa doctrine constitutes his ideological backgroun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명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