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새로 발견된 손암 정약전의 시문집에 대하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2.12
18P 미리보기
새로 발견된 손암 정약전의 시문집에 대하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남명학연구 / 36권
    · 저자명 : 허경진

    목차

    Ⅰ. 머리말
    Ⅱ. 정약전의 학시(學詩)와 작시(作詩) 활동
    Ⅲ. 형제가 유배지에서 지은 글들을 함께 편집한 책 『여유당집』
    Ⅳ. 나무꾼 고기잡이와 어울려 지은 시인 정약전
    Ⅴ. 정약전 정약용 형제의 창화시
    Ⅵ. 맺음말-유배지 흑산도를 문학의 현장으로 승화시키다

    초록

    산문 몇 편만 알려졌던 정약전(丁若銓, 1758-1816)의 시문집이 발견되었다. 정약전과 정약용 형제는 흑산도와 강진으로 유배된 뒤에 자주 시와 편지를 주고받았다. 이번에 소개하는 『여유당집(與猶堂集)』은 두 형제가 이 시기에 지은 글들을 수집하여 필사한 책인데, 여기에 실린 글 가운데 「송정사의(松政私議)」를 제외한 정약전의 글들은 지금까지 소개된 적이 없었다.
    『여유당집』의 첫 부분 「여유당집」에는 정약용이 정약전에게 보낸 편지(上仲兄書)가 9편 실렸다. 그 뒤에 실린 「잡설(雜說)」은 정약용이 강진 유배생활에 대한 보고서를 정약전에게 보내자, 정약전이 그에 화답하여 지은 것인데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에 실리지 않은 글도 있다. 두 번째 부분인 「여유당시집(與猶堂詩集)」에는 정약용이 강진에서 지어 정약전에게 보냈던 시 22제(題) 37수(首)가 실려 있다. ‘이하 손관(以下 巽舘, 가칭 정약전시문집)’에는 정약전이 지은 시 32제 40수가 실려 있다. 이런 점들로 미루어보면, 「여유당집」과 「여유당시집」· ‘이하 손관(가칭 정약전시문집)’을 함께 필사한 편집자는 강진의 정약용이 흑산도의 정약전에게 보낸 시문과 정약전이 흑산도에서 지은 글들을 함께 편집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고 생각된다.
    정약용과 달리 정약전은 섬의 어부나 나무꾼들과 어울려 술을 마시며 지냈다. 또 이들과 시를 주고받기도 했다. 정약용은 그곳 주민들을 ‘오랑캐 같은 섬사람’이라 표현했지만, 정약전은 나무꾼 고기잡이들과 기쁘게 친구가 되었다. 왕조실록에 나오는 흑산도는 대부분 유배지였는데, 유배 온 문인들은 자신이 몸담고 있는 섬의 자연을 노래하였을 뿐, 그 섬의 사람들과 어울려 시를 짓지는 않았다. 자신과 섬을 별개로 여기고, 자신은 잠시 있다가 떠날 존재로 인식한 것이다. 그러나 정약전은 흑산도와 하나가 되어, 흑산도를 문학의 현장으로 승화시켰다. 『玆山魚譜』가 어부들과 함께 쓴 물고기 생태학 보고서이고, 「송정사의(松政私議)」가 나무꾼들을 위해서 제출한 정책건의문이라면, 정약전 시문집은 어부나 나무꾼들과 친구가 되어 주고받은 흑산도 16년의 자서전이라고 할 수 있다.

    영어초록

    New anthology of Jeon Yak-Jeon(丁若銓, 1758-1816), originally renowned for his few prose works, was discovered. Jeong Yak-Jeon and Jeong Yak-Yong brothers exchanged poems and letters after the banishment to Heuksando and Gangjin. Newly introducing anthology, 『Yeoyudangjip(與猶堂集)』(卷首題) is a transcription of two brother’s writings from the period. Among the writings, ones written by Jeong Yak-Jeon was not introduced until this day besides 「Songjeongsaui(松政私議)」.
    The forepart of 『Yeoyudangjip』, 「Yeoyudangjip」 consists of 9 letters [上仲兄書] written by Jeong Yak-Yong to Jeong Yak-Jeon. Included right afterwards, 「Japseol(雜說)」 is Jeong Yak-Jeon’s reponses of Jeong Yak-Yong’s reports of exile experiences in Gangjin and some of the writings are not contained in 『Yeoyudangjeonseo(與猶堂全書)』. The Second part, 「Yeoyudangsijip(與猶堂詩集)」 contains 22jae(題) and 37su(首) poems of Jeong Yak-Yong written in Gangjin to Jeong Yak-Jeon. ‘Eha Songwan(以下 巽舘, tentatively named, Jeong Yak-Jeon Anthology)’ contains 32jae(題) and 40su(首) poems of Jeong Yak-Jeon. All things taken together, the purpose held by the editor of 「Yeoyudangjip」, 「Yeoyudangsijip」 and ‘Eha Songwan(以下 巽舘, tentatively named, Jeong Yak-Jeon Anthology)’ seems to be in editing the writings of Jeong Yak-Yong from Gangjin and those of Jeong Yak-Jeon from Heuksando.
    Jeong Yak-Jeon was different from Jeong Yak-Yong to drink and socialize with fisherman and woodsman. Jeong Yak-Yong described the residents as ‘barbaric islanders’, but in the other hand Jeong Yak-Jeon gladly became friends with fishermen and woodsmen. In Joseon Dynasty Annals, Heuksando is usually introduced as the place of exile. Exiled literati would mention about the nature of the island in which one is currently living, never to write a poem from the experience with fishermen and woodsmen. They isolated themselves from the islands, seeing themselves as temporary being in the place. However, Jeong Yak-Jeon became one with Heuksando to sublimate the place as a literary scene. If 『Heonsan-eo-bo』 is a ecology paper written together with fishermen, and 「Songjeongsa-ui(松政私議)」 is a political proposal for woodsman, the anthology of Jeong Yak-Jeon can be described as a autobiography of 16 years of exchang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해당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명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