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적장애인의 성문제와 성교육적 접근방안에 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10.06
21P 미리보기
지적장애인의 성문제와 성교육적 접근방안에 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 4권
    · 저자명 : 이경자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문헌 고찰
    1. 지적장애(intellectual disabilities)에 대한 개념
    2. 지적장애인의 성
    3. 지적장애인의 성폭력 실태
    4. 지적장애인의 성교육의 개념과 필요성
    5. 지적장애인의 성교육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Ⅲ. 지적장애인의 성교육 개입 방안
    1. 지적장애인을 위한 성교육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성적 행동은 사회의 규범이나 태도에 의해 지배되며, 개인의 장애나 환경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Mozat-Haller, 1992). 특히 지적장애인의 성에 대한 태도는 더 부정적이어서 그들의 성적 권리에 대하여 무시하거나(Heshusius, 1982; Liberatore, 1993; 권도용․나운환, 1994; 정진옥, 1996) 무관심한 것은 물론이고 다른 집단에서도 볼 수 있는 성적 문제를 지적장애라는 이유로 확대하거나 과장하기도 한다(Craft & Craft, 1981; 전용호, 1995; 이현혜․김정옥, 2003).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지적장애인에 대한 잘못된 인식을 갖고 있는 것을 임상에서나 연구자들을 통해서 종종 볼 수 있다. 최근 지적장애인을 위한 성교육관련 연구들이 조금씩 진보를 하고 있으나 아직도 미흡하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전문가 집단의 교육과 홍보 인식의 전환이 중요하고 본다. 이에 우리 사회복지사들은 자체 교육을 실시함과 동시에 학교나 지역사회에 이들을 위한 연계적인 지원을 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인의 성 문제를 살펴보고 성교육적 접근 방안을 사회복지적 관점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지적장애인을 위한 성교육적 접근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첫째, 교육 대상이 결정되면 대상별로 욕구조사를 한 후에 교육 내용을 구성하고, 실시해야 한다. 둘째, 발달단계를 정기적으로 체크하여 지체 정도에 따라 교육을 실시하면 보다 높은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셋째, 학교, 성교육 전문가, 가정이 서로 연계되어야 효과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넷째, 지적장애의 특성상 같은 주제라도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실시해야 하며, 반복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다섯째, 성교육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성교육이 정기 과목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현재 한국성폭력상담소에서 각 학교단위로 성교육을 간헐적으로 실시하고 있지만 체계적인 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 또한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성에 대한 평가가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지원을 받는 것에도 도움이 되며, 정규과목으로 채택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러한 것들이 잘 보완되고 지원이 이루어져야만 지적장애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미흡하나마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Sexual activity is influenced by social protocol and society’s attitude. It also is affected by personal defects and the environment(Mozat-Haller, 1992). Sexual activities by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 met with much more critical attitude. Their sexual rights are often ignored (Heshusius, 1982; Liberatore, 1993) and disregarded. Moreover, just because they are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ex related problems that can occur within other groups tend to become over exaggerated(Craft & Craft, 1981). Such prejudice can often be sighted even in groups of experts like researchers and professionals in clinics. Recently there have been several breakthroughs in the research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however, the study on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main insufficient. Thus,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experts and there also needs to be a change in the perception when it comes to advertising. Social welfare groups should initiate education programs within their organizations while seeking ways to help schools and the communities at the same time.This research would like to propose introducing sex education to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from social welfare perspective. First of all, once the subject of education is decided, contents of education should be formed and persecuted based on research on sexual impulse of different individuals. Higher effectiveness can be achieved by regularly checking the level of progress and by teaching accordingly with the seriousness of disability. Thirdly, effectiveness can be achieved if school, sex education expert and the family work together. Fourth,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even if the lesson is about the same theme, the teaching should be done continually and consistently. Sex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regular curriculum in order to enhance the effects. Although sex education is executed by sexual violence relief centers to each schools sporadically within Korea, there is a need for a more organized education system. Evaluation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should be done regularly so as to receive assistance more easily. By doing so, it would help in getting sex education accepted as a regular curriculum. Such factors should be supplemented and supported so that the quality of life of intellectual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uld be enhanced albeit slightl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내용의 깊이가 뛰어나고,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함께 구매한 자료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