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惠崗 崔漢綺의 進步思想과 그 敎育的 照明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03.06
25P 미리보기
惠崗 崔漢綺의 進步思想과 그 敎育的 照明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漢字漢文敎育 / 10권
    · 저자명 : 宋永日

    초록

    본 연구는 惠崗 崔漢綺의 진보적 사상과 그의 사상이 교육적인 측면에서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를 살펴본 것이다. 그의 進步思想은 氣 中心의 經驗 思想이 主流를 이룬다. 혜강의 사상을 교육적 관점에서 조명하여 보면, 첫째 自學 自得의 敎育觀을 강조하였다. 둘째, 經驗 重視 敎育觀을 제시하였다. 셋째, 一統 實薦 敎育觀을 주창하였다. 넷째, 推測 活用 敎育觀을 所重히 하였다. 등의 네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惠崗의 進步思想과 敎育的 照明은 世界의 大勢가 이미 急速히 轉變되고 있으므로 그 변화에 맞춰 이를 개혁으로 대처해야 하며, 이 같은 急變 狀況에 대해 "變은 그 變으로 막을 것이며, 不變으로 그 變을 막을 수 없다"는 것으로 요약된다. 즉 전통적 유한 사상을 실증적·경험적·과학적· 근대화와 관련시켜 進步思想을 낳게 한 것으로, 실용에 도움이 된다면 요·순·주공·공자의 언행보다 나무꾼 말이라도 取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혜강은 중세로부터 근세로 이행하는 개혁과정의 過渡的, 橋梁的 役割을 擔當한 先驅的 人物로, 그의 여러 교육관은 국가 경쟁력 제고와 교육 방법 및 교육경영 측면에서 현대 교육에 시사해 주는 바가 크며, 傳統文化 계승과 韓國 精神의 宣揚에도 괄목할 업적으로 평가된다.

    영어초록

    Choi Han Ki, HyeGang, a realist who acted in the middle of 19th century, was a social and a political thinker. He watched the absurdity of politics and society, which had been collapsed, and found out a contradiction of Seongrihak(性理學), a governing thought, and a basis of feudalism. He emphasizes the creation of all nature(萬物形成) by materialistic `Gi`(氣) and the objective rationality(合法則性) of its movement shift to establish a new order of society and to create a new world for overcoming the contradiction of Seongrihak(性理學). His progressive thought is mainly made up of the `experience thought` focusing on the `Gi`. A theory of human nature(人性論) denies the existing theory of inherence, but emphasizes the external environmental elements because virtue and vice or vice(好惡) is considered to be done in the correlation of community, individual experience, and stakes. His thought in terms of educational viewpoints is examined. First, he emphasizes the view of education focusing on `self-study and self-realization`. That is, he suggests that the study can be enjoyed when we realize for ourselves through self-study, and if `self-study and self-realization` is completed in a year, we can see its whole form in a year, and if `self-study and self-realization` is completed in 10 years, we can see its whole form in 10 years. So we must apply the way of `Mulmang(勿忘)·Muljo(勿助)`. Second, he suggests the view of education focusing on `Experience`. He says, " `Singi(神氣)` is the basis of perception(知覺), and perception is the experience of `Singi`". As the only `Singi` exists without the experience, `Singi` can get perception with the experience. One who has little experience has little perception, and one who has much experience has much perception. And also, to get right perception, proved experience(證驗的 經驗) is required, with which reconciled perception of th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God and human is created. Third, he advocates the view of education, `Iltong(一統)` Practice. Hegang says, "To respect `Iltong` is to govern a nation and the world peacefully". If it is not concerned with a peaceful governing, it is to respect the conventional tradition, and if it is harmful to a peaceful governing, it is a tradition of murdering(장적). He ties to follow the respect of natural laws, and to practice the duty of `Iltong of the World`. He insists that the description of sentences and the formality of style should be a secondary thing, and that its final end should be to save the people. Fourth, he values the view of education, `Use of Chucheuk(推測)`. He suggests the effect through the `Promotion of Virtue and Reproval of Vice` or `Being Good after Repentance`, focusing on governing humans. He says, "The sincere attitude of a ruler is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thing". As he considers the practical value of `Chucheuk` importantly, he has much concern on the `Chetong(體統)` of business and practice rather than theoretical learning. The basis of `Chetong`, a general principle of foundation to keep the people and everything, is that God`s son, Feudal Lords, God`s father, and general people will establish a fortune and innovation of World through feeling of oneness by making a system(統緖).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字漢文敎育”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