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麗史』列傳의 二人稱 代名詞 硏究 (平稱詞를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04.12
25P 미리보기
『高麗史』列傳의 二人稱 代名詞 硏究 (平稱詞를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漢字漢文敎育 / 13권
    · 저자명 : 김용한

    목차

    Ⅰ. 序言
    Ⅱ. 平稱詞
    1. 汝 2. 若 3. 爾 4. 乃
    Ⅲ. 結語

    초록

    본고는 조선조 초기에 편찬한 高麗史 列傳에 나타난 二人稱代名詞中平稱詞에 대한 연구이다. 중국의 고문에서 사용된 二人稱平稱詞의 종류는 ‘汝’, ‘女’, ‘若’, ‘而’, ‘爾’, ‘乃’, ‘戎’ 등 7가지로 다양하다. 고려조에 발간된 三國史記와 三國遺事에서는 ‘汝’․‘爾’․‘若’․‘而’ 등 4 가지의 이인칭 평칭사가 두 책에서 동시에 수용되어 사용되었으나, 조선조에 발간한 高麗史에는 고려시대에 사용되던 ‘而’가 사용되지 않고, ‘而‘와 통사적 특성이 동일한 ‘乃’가 새로 사용되었다. ‘汝’․‘爾’․‘若 등은 그대로 사용되었으나, ‘女’․‘而’․‘戎’ 등은 수용되지 않았다. 이들의 통사적 특성을 분석하면 중국의 고문에서 쓰인 용법과는 달리 쓰여진 면이 보이고, 또한 三國史記나 三國遺事에서의 용법과 다른 점도 발견된다, 개개대명사의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汝’는 중국의 문장에서와는 달리 修飾語와 被修飾語사이에 관형격 조사 ‘之’가 배합되는 유형이 나타난다. 그리고 중국의 고대 문장에서는 ‘汝’가 관형어로 잘 쓰이지 않는 현상이 특징이었으나

    영어초록

    The contents of this thesi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 The category of the 2nd Generic personal of Chinese could be classified as 7 classes ; ‘汝’, ‘女’, ‘若’, ‘而’, ‘爾’, ‘乃’, ‘戎’ but all the Generic personal converged into ‘你’ in writing in the vernacular) The biographies from 'Goreasa(高麗史)' showed only 4 classes of 2nd Generic person such as ‘汝’, ‘爾’, ‘乃’, ‘若’ which were accepted with limits, and ‘女’, ‘而, ’戎‘ were not accepted. First, Although the ancient Chinese literature show it's specific property of avoiding the ‘汝’ as a 'determinative', but 'Goreasa(高麗史)' was found that was used for a Determinative as often as for subject and object. Second, ‘若’ was used as plural form such as ‘若等’, ‘若輩’, ‘若曹’ for subject and a determinative only. Third, ‘爾’ appeared frequently as plural form by itself. when it used as a demonstrative pronoun, 'Goreasa' used only ‘彼’, ‘此’, ‘其’ although Chinese preferred to use it as ‘彼’ ‘此’. Fourth, ‘乃’ in Chinese was not used as 2nd pronoun such as that of 'Samkuksagi(三國史記)', 'Samkukyousa(三國遺事)', but it appeared again in 'Goreasa' only in the form of 'determinative'. this appearance prove that ‘乃’s specific property of usage as a determinative was accepted again by Chosun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덕분에 과제 제출 기한을 맞출 수 있어 정말 감사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字漢文敎育”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