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漢文科 敎授-學習 方法의 分類法 探索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2 최종저작일 2005.06
28P 미리보기
漢文科 敎授-學習 方法의 分類法 探索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漢字漢文敎育 / 14권
    · 저자명 : 金國會

    목차

    Ⅰ. 序論
    Ⅱ. 敎授-學習 方法의 理論的 探索
    1. 교육 목적과 교수 방법의 관계
    2. 교사-학생의 관계에 따른 교수-학습 방법의 결정
    3. 교수-학습의 환경
    Ⅲ. 漢文科 敎授-學習 方法의 分類法 探索
    1. 교육과정상의 교수-학습 방법의 답습 문제
    2. 한문 교육과정상의 교수-학습 방법
    Ⅳ. 漢文科 敎授-學習 方法의 分類法(案)
    1.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기존 분류법
    2.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분류안(I-T-L-C형)
    Ⅴ. 結論및 提言

    초록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들은 다양한 변인에 의해 결정되며, 그 변인들은 교수-학습 방법의 실제 유형에서 중심 비중을 어디에 두어야 할 지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도 교육 내용, 교수 활동, 학습 활동, 교실 환경 등의 네 가지 요인에 따른 조합만으로도 다양한 모형을 만들 수 있다. 특히 각각의 변인들이 가진 특성이 심도 있게 검토될 때, 그에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이 설계될 수 있으며, 단위 시간의 학습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논자는 본고에서 기존에 소개된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분류법을 보완하여, 교육 내용, 교사의 교수 활동, 학생의 학습 활동, 그리고 수업 환경 요건으로서의 교실 환경을 추가 하여 4가지 요인을 고려하는 I-T-L-C형 모형 분류법을 제안하였다. ‘교육 내용(I : Information)’은 교수-학습 내용을 말하는 것으로서, 교육 과정에서 분류한 한문 교과의 내용 체계에 따라 ① 한자, ② 한자어, ③ 한문으로 분류할 수 있다. ‘교수 활동(T : Teaching)’은 교사의 교수 활동으로서, 교수 장면에서의 교사의 활동 특성을 표시하는 것으로, ① 강의식, ② 발문식, ③ 대화식, ④토론식, ⑤ 보조식, ⑥ 관찰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학습 활동(L : Learning)’은 학생의 학습 활동으로서, 학습 장면에서 학생의 활동 특성을 표시하는 것으로, 학습 모둠 조직에 따라 분류하면 ① 전체학습, ② 모둠학습(소집단학습), ③ 개별학습으로 나눌 수도 있고, 학습 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① 지식 암기식, ② 이해식, ③ 응용식, ④ 분석식, ⑤ 종합식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교실 환경(C : Classroom)’은 교수-학습이 일어나는 장소인 교실 환경을 말하는 것으로서, ① 일반 교실(기자재 부적합환경), ② 전체학습형(1PC, 모니터,스크린) 교실, ③ 개별학습형(1인 1PC) 교실로 분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네 가지 변인이 갖고 있는 경우의 수를 가지고, 각각을 조합하면 변인들의 특성을 명시 반영한 I-T-L-C형 교수-학습 모형 432가지가 나올 수 있다. 각각의 변인이 갖고 있는 하위 세부 항목에 따른 분류 확장을 감안하면 아무리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라도 포괄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곧 새로운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교사의 창의적인 교수-학습 방법도 결국 이러한 분류 방법에 의해서 유형화가 가능하며, 유형에 따른 특성 및 장단점을 쉽게 파악할 수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다만, 본고에서 제안한 I-T-L-C형 분류법은 하나의 제안이며 예시일 뿐이다.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분류에 있어서 보다 나은 분류법을 창안하여, 각각의 교수-학습 방법이 갖는 특성 및 장단점을 분석하여,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의 체계적 구안과 교과교육학의 발전에 기여하고, 한문과 교과 목표 달성을 실현함은 물론, 나아가 한문과 교과 위상을 제고함에 이르기까지, 학계가 뜻을 함께 하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Type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re decided by various factors, and they are important in deciding on what the main foci should be put in the actual types of teaching-learning methods. Also in finding out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Chinese literature, various kinds of models can be built by just combining these four factors;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activities, learning activities, and classroom environment. Especially when the features of above-mentioned factors examined deeply, corresponding proper teaching-learning methods can be designed, and learning targets of each class time unit can be achieved effectively. The writer suggests I-T-L-C Model in which, complementing already-introduced Chinese literature teaching-learning methods, he considers four factors of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activities of teachers, and classroom environment, which was added as a teaching condition factor. 'Educational Contents(I: Information)', meaning teaching-learning substance, can be divided into ① Chinese characters, ② Chinese idioms, ③ Chinese literature. 'Teaching Activities(T: Teaching)', meaning teaching actions of teachers and indicating the features of their behaviors in an educational scene, can be divided into ① lecture, ② question, ③ conversation, ④ discussion, ⑤ assistance, and ⑥ observation-oriented styles. 'Learning Activities(L: Learning)' are students' learning actions, meaning the features of their behaviors in a learning scene, and are divided by the grouping ways into ① the whole class learning, ② clot learning(small group learning), ③ individual learning, and by the learning ways, into ① knowledge memorizing, ② comprehension, ③ adaptation, ④ analysis, ⑤ generalization-oriented styles. 'Classroom environment(C: Classroom)' means classroom conditions where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ake place and is divided into ① common classroom(where the use of teaching-learning aids is not easy), ② the whole class study(1 PC, 1 monitor, and 1 screen) classroom, ③ individual study(1 PC for each student) classroom. With the number of cases from these four factors, by combining them each other, we can get 432 different I-T-L-C Models reflecting the features of those factors. If we consider the expansion of division by details of lower rank, we can get a standard that will include any teaching-learning method, no matter how many there may be. In the long run, creative teaching-learning methods by a teacher with novel ideas can be embodied using these kinds of dividing ways and also the feature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methods can be grasped easily when they adopt these methods. The I-T-L-C Model presented in this report is nothing but a suggestion, an exemplification. Through this, the writer expects he will create a better way of dividing th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Chinese literature and analyz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one, contributing to the systematic designing of Chinese literature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Education, achieving the goals of Chinese literature education, and further, improving the status of Chinese literature plus its curriculum, and hopes in this effort scholars in the field will work together.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덕분에 과제 제출 기한을 맞출 수 있어 정말 감사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字漢文敎育”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