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교적 교회론의 실천에 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6.04.01 최종저작일 2011.02
31P 미리보기
선교적 교회론의 실천에 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교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선교신학 / 26권
    · 저자명 : 최형근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deal with the background of emergence of the missional church, to analyse changing cultural context in Korea, to suggest indicators of the missional church, and to delineate the essence, leadership and ministry, and structure of the missional church. In conclusion, it simply evaluates the Korean church based on the practical discourse of the missional church and suggest a future outlook of the Korean church. The emergence of the missional church(or the missional ecclesiology) orginated from Lesslie Newbigin's mission work and his mission theology. It has been expanded to the movement, so-called “the Gospel and Our Culture conversation” in the early 1980s in England. The missional challenge Lesslie Newbigin faced was the missional response in between the gospel and western worldview. Influences of the movement has spread by American missiologists as it formed a “network” in the mid 1980s in north America. In the early 1990s north American churches had been loosing social credibility due to the influences of materialism and secularism. In this situation “Gospel and Our Culture Network” became spreading its influences on the church and society by producing books and articles which contained missional insights and analyses of the north American church and American culture. The church's reaction to changing cultural context can be shown in three modes: (1) relevancy; (2) resistance; and (3) adaptation. But these approaches distort the essence of the gospel and cannot properly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context. So we need a new approach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se approaches. This must be a missional church that is grounded on the Bible and sensitively responds rapid culture change, and is created and led by the Holy Spirit. The missional church that firmly responds to a changing cultural context is a forming and reforming church as being called by the triune God and sent to the world. That is, the church must be both confessional and missional. The missional church reveals the triune God in the encounter between the gospel and culture. The very reason that the missional church exists in the world is not because of human purpose or hope, but the result of creating and redeeming work of God in the world. Therefore to participate in the mission of triune God(Missio Dei ) who calls the church, sends it to the world, and renews it in the power of the Holy Spirit is a long journey that A key of the formation of a missional community is missional leadership. The essence of the church, being the church, determines the ministry and structure of the church. The missional leadership is incarnational(servant leadership) and apostolic leadership. The holistic leadership that mobilizes believers to various ministries is closely related to the doctrine of priesthood of all believers and is a leadership form which equips believers to be ministers. The five leadership roles, apostle, prophet, evangelist, pastor, and teacher, which are shown in the book of Ephesian, are decisive factors determinating on the church's ministry. These concepts of Christian ministry claims a paradigm shift from clergy-centered hierarchical leadership to divine gift-centered lay leadership. In order to verify the fact that the church is missionary in essence, the church must rediscover the gospel. A church trying to restoring the gospel can find crucified and risen Jesus Christ, and firmly realizes the meaning of Christian discipleship in carrying out the great commission, and is empowered to live out the gospel in every sphere of its lif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