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계숙,「신동엽 시에 나타난 전통과 혁명의 의미」,『한국근대문학연구』제5권, 한국근대문학회, 2004.
· 강은교,「신동엽연구」,『국어국문학』,동아대,9집,1989. ,「신동엽 연구 2」,『국어국문학』,동아대,13집,1994
· 강형철,「신동엽 시의 텍스트 연구 -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실천문학』, 53호, 1999.2.
· 구중서,「신동엽론」,『창작과비평』, 1973, 가을.
· 구중서,「신동엽 형을 흙에 묻고」, 『월간문학』, 1969.6
· 권혁웅,「신동엽 시의 환유와 제유」,『한국근대문학연구』,한국근대문학회,통권 제2호, 2000.12
· 김병걸,「참여시 백서」,『현대문학』, 1968.
· 김상주,「신동엽 시에 나타난 ‘여성’의 의미와 역할」,『한국어문연구』15집, 2004.
· 김상주,「신동엽 시의 삼단구조 연구」,『한국어문연구』12집,1999.
· 김석영,「생태계 위기와 그 문학적 대응」,『한민족어문학』제29집, 1996.6
· 김석영,「신동엽 시의 서구 지배담론 거부와 대응」,『상허학보』제14집, 2005.2
· 김석영,「신동엽의 근대문명 비판과 생태주의적 상상력」,『어문학』통권 제71호, 2000.10.
· 김석영,「아나키즘의 시정신과 탈식민성」,『어문학』통권 제82호, 2003.9.
· 김수영,「참여시 정리」,『창작과 비평』8호, 1967.
· 김영무,「신동엽의 시 세계」,『문학비평』, 1973.
· 김영작,「동학사상과 농민봉기」,『동학혁명의 연구』,노태구편, 백산서당, 1982.
· 김영철,「신동엽 시의 상상력 구조」,『우리말글』통권 16호, 1998.11.
· 김옥순,「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유토피아에 대하여」,『이화어문논집』제18호,2000.
· 김완화,「신동엽 시의 형식과 이미지」,『민족 시인 신동엽』,구중서·강형철 편, 소명출판, 1999.
· 김우창,「신동엽의 「금강」에 대하여」,『창작과비평』, 1968.
· 김윤식,「비평의 면모」, 『월간 문학』1969, 12.
· 김윤태,「신동엽 문학과 ‘중립’의 사상」,『실천문학』통권 53호, 1999.2.
· 김재홍,「4.19의 시적 수용과 문제점」,『한국문학』, 1985.
· 김재홍,「해방 후의 현대시 개관」,『한국대표시평설』, 정한모, 김재홍 편, 문학세계사, 1983
· 김정숙,「신동엽 시의 근대비판과 생태시학」,『문예시학』제10호,1999.
· 김종철,「4·19정신과 우리의 시- 신동엽과 김수영의 시를 중심으로」,『외대학보』, 1982.4.
· 김종철,「신동엽론-민족·민중시와 道家的 想像力」,『창작과비평』,1989.
· 김창완,「신동엽 시의 담화구조」,『한남어문학』제20호,1995.
· 김창완,「신동엽 시의 원형적 연구」,『한남어문학』제19호,1993.
· 김현정,「신동엽 시의 고향의식」,『語文硏究』제45호,2004.
· 김화선,「탈주와 회귀의 상상력」, 『한국문학이론과비평』 제6집, 1999.
· 남기택,「신동엽 시의 ‘지역’과‘저항’」,『批評文學』제18집,2004.
· 노용무,「신동엽의 「향아」연구」,『한국문학이론과비평』 제13집, 2001.
· 민병욱,「신동엽의 서사시세계와 서사정신」,『한국 서사시와 서사시인 연구』, 태학사, 1998
· 박봉우,「시인 신동엽」,『신동엽 그의 문학과 삶』,구중서 편, 온누리,1989
· 박수연,「신동엽의 문학과 민족형이상학」,『어문연구학』,2002.
· 백낙청,「4.19이후의 민족문학과 신동엽」,『신동엽 』,구중서 편, 온누리,1983
· 백낙청,「민족문학의 현단계」, 『창작과비평』, 1968.
· 성민엽,「껍데기는 가라」,『신동엽』, 문학세계사, 1994.
· 성민엽,「민중적 자기긍정의 시- 신동엽의 시 세계」,『민족시인 신동엽』구중서·강형철 편, 소명출판, 1999
· 신경림,「역사의식과 순수언어-신동엽의 시에 대해서」,『삶의 眞實과 詩的 眞實』, 전예원, 1983.
· 신정섭,「대지를 아프게 한 못 하나 아버지 얼굴가에 그려넣고」,『월간독서』,1970.
· 신형기,「신동엽과 도덕화의 문제」,『어문학』통권 제82호, 2003.9.
· 양은창,「신동엽 시의 서정양상」,『語文硏究』제50호,2006.
· 양주동,「조선일보 신춘문예 심사평-제 소리가 적다」, 조선일보, 1959,1.2석간
· 염무웅,「김수영과 신동엽」,『뿌리 깊은 나무』, 1977.12.
· 오창은,「시적 상상력, 근대체제를 겨누다」,『창작과비평』제37권 제1호,2009.3
· 윤재걸,「한반도의 민족 시인」,『분노의 현장』, 수레, 1985.
· 이가림,「만남과 同情-신동엽에 있어서의 귀향의 의미」,『시인』, 1969.
· 이심훈,「신동엽 시 연구 - 시 정신과 전통성을 중심으로」,『청람어문교육』, 제11권, 1994.
· 인병선,「당신은 가신 분이 아닙니다」,『신동엽 그의 문학과 삶,』구중서 편,온누리,1989.
· 인병선,「일찍 깨어 고고히 핀 코스모스여」,월간독서,1970.5.
· 임철규,「왜 유토피아인가」, 『왜 유토피아인가』, 민음사, 1994.
· 임현진,「사회과학에서의 근대성 논의-근대화 프로젝트를 중심으로」,『한국의 근대와 근대성 비판』, 역사문제연구소편,역사비평사,1996.
· 정유화,「신동엽시 텍스트의 구조와 코드변환」,『한민족문화연구』29집,2009.
· 조동일,「시와 현실참여-참여파의 시적 가능성」,『52인 시집』, 백철 외, 신구문화사,1967.
· 조태일,「신동엽론」,『창작과비평』, 1973.
· 지현배,「신동엽의 시론 -역사의 진보와 원형회복의 꿈」,『문학과언어』제16집, 1995.5.
· 채광석,「민족시인 신동엽」,『민중적 민족문학론』, 풀빛, 1989.
· 최동호,「1950년대의 시적흐름과 정신사적 의의」,『한국현대문학사』,28인공동집필,한국현대문학,1989.
· 최두석,「신동엽의 시세계와 민족주의」,『한국시학연구』 제4호 2001.5.
· 최용석,「전후 현실의 극복의식」,『한국 전후문학에 구현된 현실인식』, 푸른사상사, 2002.
· 최하림,「60년대 시인의식」, 『현대문학』, 1974.
· 현재훈,「통곡의 시인 신동엽에게」, 『세대』, 1971.12.
· T.S엘리어트, 최중서역, 「문학과 역사」, 『문예비평론』, 박영사, 1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