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메리토크라시에서 데모크라시로: 마이클 영(Michael Young)의 논의를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8.05 최종저작일 2015.06
25P 미리보기
메리토크라시에서 데모크라시로: 마이클 영(Michael Young)의 논의를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학연구 / 53권 / 2호
    · 저자명 : 성열관

    목차

    I. 서론
    Ⅱ. 『메리토크라시의 발흥』의 주요 내용
    Ⅲ. 메리토크라시의 특징과 한계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초록

    산업화 초반에는 세습보다는 교육이 지위이동의 사다리 역할을 담당하였으나 이제는 직접 상속, 소
    득양극화, 사교육의 활용, 거주지 분화, 계층에 따른 학교 서열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출발점에서의
    불평등이 일어나고 있다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는 메리토크라시의 기저에 놓여있는 원리와 그
    신화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보도록 한다. 이에 대한 논의를 위해 이 논문은 메리토크라시 용어를 처음
    창안한 Michael Young의 『메리토크라시의 발흥』으로 다시 돌아가, 그 체제의 특징과 한계를 살펴본
    다음 그것의 현재적 의미에 대해 재음미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첫째, Young이 메리
    토크라시의 미래상에 대해 예언한 것은 오늘날 어떤 점에서 적실하고 어떤 점에서 그렇지 못한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Young이 문학적으로 풍자한 메리토크라시의 특징은 무엇이고, 그 체제의 한
    계는 무엇인가? 셋째, 오늘날 한국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메리토크라시 이슈와 인정문제에 대해 논의
    해보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오늘날 위험사회 또는 유동사회라는 변동을 겪고 있는 한국사회에서
    Young의 저서가 교육자들에게 주는 교훈은 메리토크라시를 극복할 수 있는 데모크라시이자 인정의
    윤리라는 점을 밝혀보았다.

    영어초록

    At the early phase of industrialization, the education in South Korea has been seen as a ladder
    for upward social mobility. But since then, there have been more references to such unequal
    starting points as inheritance of wealth, income polarization, disparity in additional education
    investments, residential segregation, and social stratification associated with school rankings. This
    leads us to examine the underlying principles and the myth of meritocracy. In this regard, this
    article is to return, as a point of departure for examination, to the book, The Rise of Meritocracy,
    written by Michael Young who first coined the term. And the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shortcomings of it by rethinking how it continues to resonate today. In doing so, first, the
    research investigates if Young’s predictions on the future of meritocracy are still effective and
    relevant today. Second, the author points out the limitation of meritocratic belief that is not
    sufficient grounding enough where theory of recognition is concerned. Third, this paper addresses
    the ethical demands combined with the ideal of democracy in schooling. And the author also
    discusses the ethics of recognition in consideration of contemporary Korea’s social changes of
    what is called as risk society or liquid society and draws the possible lessons from Young’s
    arguments from the perspectives of democracy rather than meritocrac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2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