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정치적 올바름’ 논쟁의 사회사적 고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6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6.05 최종저작일 2015.05
16P 미리보기
‘정치적 올바름’ 논쟁의 사회사적 고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회과교육연구 / 22권 / 2호
    · 저자명 : 이종일

    목차

    I. 머리말
    II. 68혁명 이전 저항운동
    III. 다문화주의 운동의 전개: 4단계
    IV. PC논쟁의 주요 이슈
    V. 맺음말: PC논쟁과 다문화교육
    참고문헌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정치적 올바름(political correctness, PC)’논쟁을 다문화주의의 전개과정과 관
    련하여 고찰함으로써 다문화교육의 방향을 재고하는 데 있다. 1960년대 구미 신좌파들의 다문화운동은
    인종·계급·젠더 등에 대해 ‘다문화적 시각’을 제공하면서 활발하게 전개되었지만, 1970년대에는 주류
    집단의 강한 반발로 그 열정이 약화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진보주의자들은 후기구조주의 철학을 수용하여
    다문화운동의 이론적 바탕을 강화하면서, ‘다문화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1980년대 초에 이
    르면 여러 분리된 소수자집단들은 다문화주의라는 이름하에 함께 연합하여 보수진영에 대항하기에 이르
    렀다. 진보진영의 결속은 보수주의자들에게 커다란 위협이 되었다. 이에 보수주의자들은 다문화주의의 주
    장들이 ‘정치적 올바름’에 지나지 않는다는 논리를 개발하여 진보주의자들의 논리를 정면으로 비판하기 시
    작하였다. 1987년 이후 두 진영은 4가지 이슈(정전[正典], 스피치코드, 대학 교육과정에서 서구문명 강좌
    폐지, 공립학교에서 다문화교육)를 두고 치열한 논쟁을 하였다. 필자는 이들 이슈에 대한 사회사적 이해
    가 다문화교육의 방향 재고에 많은 시사점을 줄 것으로 본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debate over political correctness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ism and find a way we should take in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movement of the New Left in USA became active in 1960s providing the multicultural
    perspective on race, class and gender. However, in 1970s, its enthusiasm was weakened confronted
    with the backlash of the majority groups. In this situation, the progressives accepted the new ideas
    of French philosophers such as Derrida, Foucault, Lacan and Bourdieu and strengthened the
    theoretical basis of multicultural movement using the term ‘multiculturalism’. In the early 1980s,
    under the flag of multiculturalism, each separate minority group joined together and revolted
    against the conservatives. Intimidated with this, conservatives began to criticize the progressives
    saying that the arguments of progressives were correct only in the political sense. Since 1987, both
    groups have debated about the 4 controversial issues_the canon, the speech code, the exclusion of
    western civilization courses from university curriculum and multicultural education in public
    schools. Understanding these issues will help us to find a way we should take in multicultural
    educ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회과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19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