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실제와 허구가 병존한 嘔血臺 고사의 탄생 배경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5.06 최종저작일 2014.12
25P 미리보기
실제와 허구가 병존한 嘔血臺 고사의 탄생 배경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학논총 / 44권
    · 저자명 : 朴現圭

    목차

    1. 서론
    2. 嘔血臺고사의 출현과 변이 양상
    3. 嘔血臺고사의 배경지 首山봉화대
    4. 진하변무사 李忔의 사행 활동
    5. 상통사 韓瑗과 袁崇煥의 만남
    6. 결론

    초록

    본 논문은 조선 지식층 사이에 널리 전해오는 嘔血臺 고사가 발생한 실체와
    과정을 고찰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구혈대 고사는 명과 후금(훗날 청)이 寧遠(현 요동 興城)에서 격돌한 전쟁, 소
    위 寧遠大捷을 배경으로 삼았다. 고사 속에서 후금 누르하치(奴爾哈赤)가 대군을
    이끌고 영원성(현 흥성)을 공략했다가, 명 袁崇煥의 지략과 용맹에 막혀 대패를
    당하자 울분에 쌓여 피를 토해내었고, 나중에 사망했다고 한다. 이때 조선 사절
    의 일원으로 온 역관 韓瑗이 전쟁 상황을 직접 목격하는 증인으로 등장했다.
    구혈대 고사는 李星齡의 ≪春坡堂日月錄≫에 처음 기술된 이래 조선 지식층 사이에 널리 알려졌고, 특히 사행에 나선 조선 사절은 노정에 소재한 영원을 지
    나가며 구혈대 고사가 발생한 장소를 확인하곤 했다. 영원성의 동북쪽에 자리한
    首山에 명 정통 연간에 세워진 봉화대가 있고, 이곳에서 내려다보면 영원성이
    한 눈에 들어온다. 후대에 들어가서 구혈대 고사는 주인공이 누르하치에서 홍타
    이지로 바뀌는 등 여러 형태로 변형되며 계속 발전해 나갔다.
    조선 지식층이 구혈대 고사를 들먹이는 것은 굴욕적 역사를 안긴 청나라에
    대해 거부감을 표시하고 명 원숭환의 승리를 통해 자신의 승리인양 일종의 대리
    만족에서 나왔다. 구혈대 고사에는 실제와 허구가 병존한다. 고사에 나타난 전쟁
    모습은 역사적 실체와 가깝지만, 이때 조선 사절과 역관이 출현했다는 것은 허
    구이다. 원형 고사 또는 변형 고사에서 언급된 실제 역사, 즉 1626년(천계 6;
    천명 11)의 영원대첩 또는 1627년(천계 7; 천총 1)의 영금대첩 때는 연행 노정
    상 조선 사절이 영원과 금주로 들어올 수가 없었다. 1629년(인조 7)에 진하변무
    사 李? 일행이 다시 영원을 들렀고, 이때 사절의 일원인 역관 한원이 원숭환과
    몇 차례 만났는데, 한 번은 금주로 가서 원숭환과 함께 군사 훈련과 시설물을
    둘러보았다. 이때 한원이 목격한 상황이 조선 지식층으로 사이에 전해졌고, 나중
    에 후대 사람에 의해 확대 생산하여 구혈대 고사가 탄생하게 된 배경으로 보인
    다.

    영어초록

    This treatise places emphasis on studying the reality and the process
    of the occurrence of the story of terrace of vomiting blood which had
    been circulated among Joseon intellectuals.
    The story of terrace of vomiting blood took Ningyuan Battle, a war
    between Ming and Later Jin as its background. The story says that
    Nurhachi of Later Jin who led a large army and attacked the city of
    Ningyuan suffered a crushing defeat by the strategy and the
    dauntlessness of Yuan Chonghuan of Ming, vomited blood with
    resentment, and finally died. The story also tells that Han Won, a
    interpreter who came to China as a member of Joseon envoy appeared
    as a witness of the war.
    The story of terrace of vomiting blood was widely known among
    Joseon intellectuals since the story was described for the first time in
    Chunpadang ilwol rok written by Lee Seongryeong. Especially, Joseon
    envoys identified sometimes the place where the story was happened
    when they passed Ningyuan located on the way of their journey. There is a terrace of signal fire which was established on Shoushan northeast
    of the city of Ningyuan in the Zhengtong reign period. Later on, the
    story of terrace of vomiting blood has developed into verious forms. For
    example, the protagonist in the story has been changed from Nurhachi to
    Hong Taiji.
    The purpose of Joseon intellectuals' mention of the story of terrace of
    vomiting blood was to show their repulsion against Qing government
    causing humiliating history and to get a kind of vicarious satisfaction
    through the victory of Yuan Chonghuan of Ming. Reality and fiction
    coexist in the story of terrace of vomiting blood. The story's description
    about the war is near to historical reality but its mention about Joseon
    envoy and interpreter is fiction. It is true that Joseon envoy could not
    enter into Ningyuan and Jinzhou in 1626 of Ningyuan battle or in 1627 of
    Ningjin battle which are mentioned in the original story or in the
    modified story. Lee Heul and his company visited again in 1629 and an
    interpreter Han Won, a member of envoy met Yuan Chonghuan several
    times. Han Won went to Jinzhou and looked around military training and
    facility with Yuan Chonghuan. It is assumed that the situation that Han
    Won witnessed was known to Joseon intellectuals and later on the story
    was created by later generation's exagg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