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토론방의 수업사례 토론에서 유아교사들의 자기조절 학습능력 및 메시지 유형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ㆍ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ㆍ수록지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20권 / 3호
ㆍ저자명 : 이춘자
ㆍ저자명 : 이춘자
목차
요 약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자기 조절 학습
2. 웹 토론방
3. 메시지 분석
I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연구도구
3. 연구 절차
4. 자료분석
IV. 연구 결과 및 해석
1. 유아교사의 자기 조절 학습
2. 유아교사의 메시지 유형
3.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따른 메시지 유형
4.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따라 한 메시지를 구성하는 의미단위 구성 유형별 메시지 수
V. 논의 및 결론
참 고 문 헌
ABSTRACT
한국어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웹 토론방의 수업사례 토론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메시지 유형이 어떠한지를 살펴보고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따라 메시지 유형이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여 교사교육에서 웹 토론방을 활용할 때 고려해야할 조건을 알아보는 것이다. 8주간의 웹사이트를 운영한 후 20명의 교사들이 사례토론방에 올린 메시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의 메시지는 인지적, 상호작용적, 메타인지적 유형의 순서로 나타났고 자기조절 학습능력에 따라 메시지 유형의 큰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전문교사가 갖는 특성과 유사하고 웹과 같이 개방된 공간에서 요구되는 자기조절 학습능력과 메시지 유형간에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영어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early childhood teachers' message type and how different message types depend on their self-regulated learning levels. Moreover it examins what teacher educator should take into consideration as to the web-bbs management.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set to meet the above purpose.
1) How is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2) How is the message type? 3) How do the message types depend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4) How is the meaning-unit-type per message of one message is composed according to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wenty kindergarten teachers were the subjects in this study. Of the cases for this study, 8 were selected based on the case development standar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ree types of the messages were revealed such as cognitive type, interactive type and meta cognitive type. There were great differences depend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veal that there are the co-relations between the self-regulated learning levels and message types.
참고 자료
없음태그
"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
학교규모와 학업성취의 관계 - 적정 학교규모의 탐색 - 22페이지
사범대학생의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23페이지
유치원 교사의 배경 변인과 교직 지향성 및 교직 지향 이유와의 관계 연구 17페이지
교육실습생의 갈등에 관한 분석연구 - 서울 · 경기지역 사립초등학교를 중심으로 -18페이지
교사평가의 공정성 확보방안 28페이지
지식기반사회에서 정보 · 통신기술 활용을 위한 교사의 핵심역량 개발 21페이지
교사 자기평가에 의한 교수활동 수행 수준의 분석23페이지
교사에 대한 신문의 보도태도 분석 18페이지
효과적인 예비교사 현장실습 교육에 관한 연구 22페이지
교장 지도성 개발 프로그램 적용 연구 -구성주의 기반 갈등관리 지도성 개발 프로그램-2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