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초등 경력 교사의 교과 통합적 내용교수지식(PCKi)의 형성과 발달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4.08 최종저작일 2011.01
23P 미리보기
초등 경력 교사의 교과 통합적 내용교수지식(PCKi)의 형성과 발달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 / 28권 / 3호
    · 저자명 : 김평국

    목차

    I.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대학원 진학 이전의 분과적 내용교수지식
    Ⅳ. 대학원 재학 중 교과 통합적 내용교수지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 고 문 헌

    초록

    이 연구는 한 초등 경력 교사가 대학원에서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하여 학습하고 이를 교실
    현장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교과 통합적 내용교수지식(PCKi)이 어떻게 형성되고 발달하는지에
    대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L교사가 대학원에 진학하기 전에 지녔던 내용교수
    지식을 탐구하였다. 둘째, L교사가 대학원에서 교육과정의 재구성에 관한 강좌를 수강하고 경
    험한 내용교수지식의 형성을 탐구하였다. 셋째, L교사가 교실 현장에서 교육과정과 수업을 운
    영하면서 경험한 내용교수지식의 발달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 첫째, L교사는 대학원 진학 이
    전 분과적 내용교수지식을 지니고 있었다. 둘째, L교사는 대학원에서 교육과정 재구성에 관한
    기초와 원리와 방식을 이해하게 되었다. 셋째, 자신이 담당하는 학년 교육과정을 교과 통합적
    으로 재구성하고 실행하면서 이것이 학생들에게 더 유익하다는 것, 동학년 교사와의 협력이
    중요하다는 것, 중복된 내용의 통합 후 시수를 감축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넷째, 수
    업 과정 중에 즉흥적으로 교과 간 내용을 통합하여 지도하고, 학생이 두 교과의 교과서를 동
    시에 활용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결론에서 이러한 L교사의 교과 통합적 내용
    교수지식의 형성, 발달 경험이 교사의 교육과정 및 수업 전문성 신장에 주는 시사점을 논의
    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narrative inquiry into how a Korean
    experienced elementary teacher acquired and developed new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integrating different subject matters (PCKi). During the inquiry, the researcher and the
    participant went through a process of collaboration involving mutual storytelling and
    restorying. The study investigated what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teacher held
    before she entered the graduate school, how she realized her lack of expertise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how she acquired and developed new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integrating different subject matters in the graduate school and in her classroom.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er hel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ubject by subject prior to the
    entrance to the graduate school, realized her lack of expertise both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especially through conversations with her friends as mothers in her high school
    class reunion, decided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and acquired new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a graduate class as a knowledge community by exchanging narrative on the
    foundations, principles and methods of curriculum reorganization with fellow teachers and
    the researcher. She developed he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integrating different
    subject matters by creating her personal curriculum based on the reorganization of textbooks
    and teachers' guides and implementing it in her own classroom. She recognized that
    integrating subject matters benefits students better than before, it is important to collaborate
    with fellow teachers in the same grad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yearly instructional
    hours of a subject by removing the overlapping content. Also, she understood that she
    could integrate spontaneously different subject matters during instruction and have students
    work on two different textbooks simultaneously on their desks. The study suggested that
    elementary teachers would develop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integrating different
    subject matters in order to broaden their curricular and instructional expertise, professors of
    graduate school would provide teachers with narrative-based courses that acknowledge
    narrative authority of teachers, graduate schools and offices of education would support the
    establishment and maintenance of knowledge communities where teachers change the frames
    for teaching through cyclical processes of sharing their stories, reflecting, critiquing, living
    changed stories and restorying, and researchers would expand their current focus on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ubject by subject to includ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integrating different subject matter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교원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