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朱子書節要⌋와 ⌈朱書百選⌋의 비교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4.08 최종저작일 2014.01
32P 미리보기
⌈朱子書節要⌋와 ⌈朱書百選⌋의 비교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15권
    · 저자명 : 宋熹準

    목차

    1. 서문
    2. ⌈주자서절요⌋
    1) 편찬의도와 과정
    2) 내용과 성격
    3) 출판과 후향
    3. ⌈朱書百選⌋
    1) 正祖의 朱子學 공부
    2) ⌈주서백선⌋의 편찬과 그 의도
    3) 정조의 ⌈주자백선⌋에 대한 독서열
    4) 간행과 보급
    5) ⌈주서백선⌋의 체제와 내용
    4. 결론

    초록

    조선 중기 이후 학풍은 朱子를 극도로 존숭하면서 朱子學이 절대적인
    지위를 차지하였다. 주자학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학자는 李滉이며, 국왕
    으로 주자학에 몰두한 분은 正祖이다. 이들은 각각 ?朱子書節要?와 ?朱
    書百選?을 편찬하였는데, 이 두 책은 서로에 밀접한 상관 관계가 있다.
    ?주자서절요?는 李滉(1501∼1570)이 ?朱子大全? 중에서 서찰 가운데
    중요한 것을 뽑은 것으로, 1558년에 편찬한 20권 10책이다. 이황은 성리학에 관심을 두고 ?주자대전?을 가지고 정독하면서 거기에 담긴 맛과
    의리의 무궁함을 깨닫게 되었으며, 특히 그 중에서도 서찰에서 감동되는
    바가 많았으니 이것이 ?주자서절요?를 편찬하게 되는 직접적 동기가 된
    다. 주자의 서찰이 59권 2,365편인데 ?주자서절요?에는 20권 1,234편의
    서찰이 실려있으니, 편수에서는 1,100편 정도 줄었지만 분량에 있어서는
    2/3가 줄어들었다. 이황은 사람이 공부를 하는데 있어서 동기를 유발하
    고 흥기하는 데서 출발하여야 학문에 진척이 있게 된다고 하면서, 거기
    에 가장 적합한 것이 주자의 서찰이라고 하였다. ?주자서절요?는 1561
    년에 처음 간행된 이후 약 40년 사이에 7차례나 간행되는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또한 그것에 대한 주석서로 많이 쏟아졌다.
    ?주서백선?은 正祖(1752∼1800)가 1794년에 편찬하였는데, 이미 이
    황이 편찬해놓은 ?주자서절요?를 기준으로 하여 주자의 편지 100편만을
    뽑은 것이다. 정조는 이 책을 편찬하기 전부터 “주자는 내가 존경하여
    스승으로 삼는 분이다.”라고 하여 조선조 국왕 중 가장 주자학에 몰두한
    왕이었다. 정조는 ?주서백선?을 간행한 이후 중앙의 규장각과 지방의 감
    영과 관청에서 대대적으로 간행하여 보급하게 하였으니, 그 주된 목적은
    당시 明淸小品과 패관소설 등으로 무너진 文體를 바로잡는 正經을 제시
    함으로 조선을 주자학의 나라로 만들고자 하는데 있다. 이황과 정조의
    이와 같은 노력은 실제로 조선조 중기이후 구한말까지는 주자학의 전성
    기를 만들었다.
    두 책을 비교해본 결과 ?주서백선?의 99편이 ?주자서절요?에서 그대
    로 끌어왔으며 단 1편만 새로 뽑은 것이었으며, 정조는 이황의 편집 태
    도와 의도를 대체로 잘 계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초록

    The academic traditions since the mid-Joseon period has been
    taken an absolute position by Jujahak(neo-Confucian, 朱子學), as
    extremely reverencing Juja. The scholar who regularly started
    Jujahak was Yi Hwang(李滉), and the King who was absorbed in
    Jujahak was Jeongju(正祖). They wrote ?Jujaseojeolyo(朱子書節要)?
    and ?Juseobaekseon(朱書百選)? respectively, which books have a
    clos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Jujaseojeolyo? was a book that Yi Hwang(1501∼1570) selected
    as an important one among letters in ?Jujadaejeon(朱子大全)?,
    which was 10 book of 20 volumes, published in 1558. Yi Hwang
    realized the eternity of taste and loyalty therein while carefully
    reading ?Jujadaejeon? with an interest in Seongrihak, particularly
    among them, he had much inspiration in the letters among them,
    which became the direct motive for publishing ?Jujaseojeolyo?.
    Juja's letters were 59 volumes 2,365 units, while ?Jujaseojeolyo?
    included 20 volumes 1,234 units of letters, therefore the quantity
    was decreased with 2/3, while the number of units decreased by
    around 1,100 units. Yi Hwang said that learning should start from
    motivation and interest, in order to advance learning, saying that
    the most proper one was Juja's letters. ?Jujaseojeolyo? became the
    bestseller, which had been published for 7 times during the 40
    years since its first publication in 1561. Also, there were lots of
    commentaries on that. ?Juseobaekseon? was published by Jeongjo(1752∼1800) in
    1794, which was thee selection of Juja's 100 letters, based on ?
    Jujaseojeolyo?, which Yi Hwang already published. Jeongjo was the
    King who was most absorbed in Jujahak (neo-Confucian), who said,
    "Juja is my teacher whom I respect" even before the publication
    of this book. Since the publication of ?Juseobaekseon?, Jeongjo
    encouraged it to be published and distributed extensively in the
    center Gyujanggak(奎章閣), Gamyeong(監營) of province and
    government office, aiming for establishment of Joseon of Jujahak
    by suggesting Jeonggyeong(正經), to correct destroyed style of
    writing(文體) due to Myeongcheong Sopum(明淸小品) and
    Paegwansoseol, etc. Yi Hwang and Jeongjo's efforts, this way,
    actually made the prie of Jujahak until the Late period of Joseon
    since mid-Joseon period.
    As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the two books, 99 units of ?Juseobaekseon? were directly drawn from ?Jujaseojeolyo?, only
    1 of them was newly selected, also, it appeared that Jeongjo mostly
    well succeeded Yi Hwang's editorial attitude and inten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