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비와 동양의 이상적 인간상-군자/ 소인, 진유/ 속유, 대장부, 유ㆍ불ㆍ선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4.08 최종저작일 2014.01
32P 미리보기
선비와 동양의 이상적 인간상-군자/ 소인, 진유/ 속유, 대장부, 유ㆍ불ㆍ선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15권
    · 저자명 : 이동건

    목차

    1. 서론 : 현대에서 이상적 인간상의 필요성
    2. 동양의 이상적 인간상
    1) 유교의 성인(聖人)ㆍ군자(君子)
    2) 불교의 부처ㆍ보살
    3) 도가의 성인(聖人)ㆍ지인(至人)
    3. ‘선비’라는 인간상의 내용과 그 모범
    1) ‘선비’는 어떤 사람인가?
    2) 선비의 모범으로서의 퇴계
    4. ‘선비’라는 인간상의 다른 표현들과 그 내용
    1) 군자(君子)/ 소인(小人) : 덕성의 측면
    2) 진유(眞儒)/ 속유(俗儒) : 지향의 측면
    3) 대장부(大丈夫)
    5. 결론 : 바람직한 동양의 이상적 인간상
    현대의

    초록

    현대의 수많은 가치와 전통과 현대의 갈등 속에서 현대인들은 가치의
    혼란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가치의 혼란을 넘어 개인과 사회의 정체
    성과 가치 있는 삶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그 지표가 되는 ‘이상적
    인간상의 정립’이 필요하다. 이 글에서는 동양사상의 큰 주류인 유(儒)ㆍ
    불(佛)ㆍ도(道)의 이상적 인간상을 간략하게 일별한 후, 주로 ‘선비’를 중심으로 한 이상적 인간상에 관해 살펴보았다. ‘선비’라는 이상적 인간상
    은 출세간적(出世間的) 성격을 띤 불교나 도가의 이상적 인간상과는 달
    리, 세간적(世間的)이고 현실참여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 더구나 ‘선비’
    라는 인간상은 한국의 전통문화에서 현실적으로 오랫동안 유지되어 온
    이상적 인간상인 까닭에 현실적인 적용의 가능성 또한 불교나 도가의 이
    상적 인간상보다 더 크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선비’라는 이상적 인간상은 ‘어떻게 인간으로서 이상적인 삶을 살아갈
    것인가?’에 대한 유교적인 해답이다. 선비란 요약하여 말하자면, 수기(修
    己)를 통해 학문과 덕성을 닦고, 자신이 배운 도(道)를 치인(治人)을 통
    해 사회에 구현하며, 항상 개인의 사욕보다는 공공의 정의[義]를 지향하
    는 사람이 바로 ‘선비’이다. 한마디로 ‘선비’란 무엇인가 소유함으로 해서
    행복해지고자 하는 소유지향적인 삶이 아닌, 좀 더 인간다워짐으로써 행
    복해지는 존재지향적인 삶을 살았던 사람이다. 그리고 군자(君子), 진유
    (眞儒), 대장부(大丈夫)와 같은 도덕적 인간상은 수기치인(修己治人)을 통
    해 유교적 이념을 구현하는 선비라는 인간상의 다른 이름인 것이다. ‘선
    비’는 분명 현대사회의 이상적 인간상은 아니다. 하지만 그것은 어쩌면
    개인의 행복과 인간다움을 물질의 소유로 대체한 체, ‘인간다운 이상적
    인 삶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별로 묻지 않는 현대의 소유지향적인 삶에
    대해 그 부족한 부분을 일깨울 수 있는 가치지향적인 내용을 ‘선비’의
    인간상은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다만 과거의 이상적 인간상을 어떻게
    현대와 조화되게 조율할 것인가는 우리가 고민해야 할 일이다.

    영어초록

    Modern people are experiencing confusion from various values
    in modern world and from the conflicts between the tradition and
    the modern times. Beyond such confusion of values, required to
    present the individual and social identity and the direction of
    valuable life is "the establishment of ideal image of man." After
    giving a glance to the ideal image of man by Confucianismㆍ
    BuddhismㆍTaoism, the mainstream of Eastern thought, this
    research examined a 'Seonbi'-oriented ideal image of man.
    'Seonbi', an ideal image of man, bears the nature of staying and
    participating in reality(世間的) different from the Buddhistic or
    Taoisitc ideal image of man with the nature of leaving home(出世間
    的). Moreover, the human image of 'Seonbi' is an ideal one that has
    long been maintained in reality through traditional Korean culture.
    Therefore its applicability to reality is probably bigger than that
    of Buddhism or Taoism.
    'Seonbi' as an ideal image of man is the confucian answer to the
    question, 'How to live an ideal life as a man?' In summary, 'Seonbi'
    is a man who cultivates knowledge and virtue through
    self-cultivation(修己), realizes the Tao(道) in society through
    governing people(治人) and aims always at the public justice rather than selfish desires. Who is 'Seonbi' in a word? It is he who lives
    not the possession oriented life trying to be happy by possessing
    something, but the being oriented life trying to be happy by
    becoming more humane. In addition, the moral image of man as a
    man of virtue(君子), real Confucian scholar(眞儒) and the supreme
    gentleman(大丈夫) is another name of Seonbi who realizes
    Confucian ideology through self-cultivation and governing people
    (修己治人). Seonbi is surely not an ideal image of man in modern
    society. However, to the modern possession oriented life that
    substitutes the possession of material for personal happiness and
    humaneness and rarely asks about 'what is humane, ideal life?', the
    'Seonbi' image of man includes the value oriented content which
    is able to awaken what it lacks. We should only be concerned with
    how to tune the ideal image of man in the past to be harmonized
    with the moder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최신 정보를 반영하고 있어 믿을 수 있습니다. 특히, 각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 덕분에 복잡한 개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에게도 강력히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