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웹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인지지원도구 활용전략 탐색 및 인지부하에 미치는 효과 분석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3.06
34P 미리보기
웹기반 문제중심학습에서 인지지원도구 활용전략 탐색 및 인지부하에 미치는 효과 분석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공학연구 / 29권 / 2호
    · 저자명 : 선종삼, 최욱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웹기반 PBL환경에서 외재적 인지부하의 발생을 줄이고 본유적 인지부하를 촉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인지지원도구를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를 탐색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인지지원도구 활용전략의 탐색 단계와 그 효과를 검증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지지원도구 활용 전략의 탐색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활용전략의 도출과 현장 적용으로 확인된 문제점의 수정ㆍ보완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CORDTRA 다이어그램 분석과 초점집단면담을 통해 ‘학습자들의 협력활동 구조화’, ‘교수자 및 동료 학습자의 점검 활동 강화’, ‘학습내용에 대한 자기설명의 기회 부여’, ‘전문가(교사)가 작성한 미완성의 개념도 제공’, ‘이전단계에서 작성한 학습결과물의 참조 수단 제공’, ‘연산기능의 적용’ 등의 활용 전략이 도출되었다. 인지지원도구 활용 전략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초등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변인간의 다변량 분산분석(MANOVA)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만나기’ 단계와 ‘문제해결계획 세우기’ 단계에서의 인지지원도구 활용 전략의 적용은 학습자들의 본유적 인지부하(문제만나기: F=7.524, p=.009; 문제해결계획 세우기: F=15.200, p=.000)와 외재적 인지부하(문제만나기: F=14.742, p=.000; 문제해결계획 세우기: F=25.421, p=.000)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둘째, ‘탐색 및 재탐색하기’ 단계에서의 인지지원도구 활용 전략 적용은 외재적 인지부하 수준에서만 차이를 보였다(F=10.843, p=.002). 셋째, 인지지원도구의 활용은 실험집단에서 보통 이하의 내재적 인지부하(평균 2.70)를 유발하였으나 비교집단의 내재적 인지부하 수준과 유의한 차이를 이끌어내지 못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웹기반 PBL 환경에서 학습자들의 외재적 인지부하를 최소화하고 본유적 인지부하를 촉진시키기 위해 인지지원도구의 구체적 활용전략을 제시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he†Correspondence : Sun, Jong-Sam, Bongilcheon Elementary School, sjsclass@hanmail.net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how to utilize cognitive tools for web-based PBL so as to lessen extraneous cognitive load and facilitate germane cognitive load. Moreover, the research also purpor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In accordance with the utilization strategies designed through advanced literature analysis, researchers conducted the preparatory study targeting five elementary students for 5 weeks. Applying analysis of CORDTRA diagrams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 refined the specific utilization methods of cognitive tools, such as systemization of collaborative activities among learners, enriching check-up activities by teachers and peers, provision of opportunities for self-explanation in learning, supplying incomplete concept map offered by teacher(expert), suggestion of learning results acquired in previous steps as a reference purpose, applying arithmetic function, etc. The experimental research was performed with 40 elementary learners, implementing web-based PBL in order for the effects of the utilization strategies to be verified. The followings are the outcomes from MANOVA among variables. At first, applying the utilization strategies to the step of ‘encountering a problem’ and ‘Establishing a plan for problem-solving’,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rmane cognitive load(‘encountering a problem’: F=7.524, p=.009; ‘Establishing a plan for problem-solving’: F=15.200, p=.000) and extraneous cognitive load(‘encountering a problem’: F=14.742, p=.000; ‘Establishing a plan for problem-solving’: F=25.421, p=.000). Secondly, the results revealed that applying the utilization strategies for the phase of ‘Exploration and revisiting’ led t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erms of extraneous cognitive load(F=10.843, p=.002). Lastly, implementation of the cognitive tools gave rise to below-average level of intrinsic cognitive load(Mean: 2.70) in experimental group, but no difference in comparison group.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outcomes mentioned above reside in provision for practical utilization strategies of cognitive tools so that they alleviate extraneous cognitive load and promote germane cognitive load in web-PBL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구매한 자료가 제가 필요로 하는 모든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판매자의 자료는 다음에도 다시 이용하고 싶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공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