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초등교사의 실천적 지식 변화에 대한 사례 연구 : 과학영재수업을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0.01
30P 미리보기
초등교사의 실천적 지식 변화에 대한 사례 연구 : 과학영재수업을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재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재교육연구 / 20권 / 1호
    · 저자명 : 정정인, 류인숙

    목차

    I. 서 론
    II. 연구 방법
    III. 결과 및 논의
    IV. 결론 및 제언
    V. 감사의 글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영재수업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과학 영재수업 및 영재아에 대
    한 인식 변화와 교사들의 실제 수업 및 동료교사 간의 대화를 통해 실천적 지식의 변
    화과정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대상으로 수업개선을 희망하는 초등
    교사 2명(A와 B교사)을 선정하였고, 그 교사들은 수업 및 수업대화를 통해 수업에 대
    한 자기성찰과정을 경험하였다. 교직경력 10년차인 A교사는 학부 때부터 영재아 관찰
    을 통해 영재를 접해왔고 평소에도 영재나 과학수업에 관심을 많이 갖고 있어 대학원
    에 진학하였다. 그에 비해 B교사는 교직경력이 3년차이며 대학원에 진학한 이후 영재
    아를 접해 본 교사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좋은 수업에 대한 확고한 신념
    과 영재에 관한 지식이 선행되어 있는 A교사는 자신의 실제 교실 수업 경험으로부터
    반성적 성찰을 통해 영재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이 발달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업관찰과 동료교사와의 수업대화를 통해 고민한 부분에 대하여는 교수방법을 변경
    하거나 교과내용지식을 보강하는 등 실천적 지식이 다음 수업에 실제적으로 반영되어
    나타났다. 그러나 영재에 관한 지식이 선행되지 않은 B교사는 자신의 수업성찰이나 수
    업 경험이라기보다는 동료교사와의 대화를 통해 실천적 지식의 발달이 이루어졌으며
    형성된 실천적 지식을 다음 수업에 반영하는데 다소 어려움을 겪는 듯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교사가 가지고 있는 신념, 가치관, 경험, 지식 등에 따라 실천적 지식의 변
    화과정이나 형성과정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수업, 수업관찰, 동료교사와의 수업
    대화를 통한 자기 수업에 대한 성찰은 초등영재 담당교사가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여
    수업전문성을 향상시키기에 좋은 방법이 되므로 영재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모의수
    업, 자기수업반성, 수업대화를 통해 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eachers’
    recognition of science class and children for the gifted, and the process of
    changes in their practical knowledge after the experience of science class
    and conversation with colleague teachers. Two elementary teachers,
    teacher A and B, were selected as subject of investigation, who wanted to
    improve their science class. They experienced the process of selfexamination
    during their class and from class conversations. Teacher A
    has 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She has been in contact with gifted
    children and observed them since undergraduate. She entered the graduate
    school since she came to be interested in science class and children for
    the gifted. While teacher B has only thre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had a first contact with the gifted after graduate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eacher A didn’t change recognition of gifted
    children class by class conversation in short term because she had a firm
    faith in good class teaching and was rich in class teaching knowledge.
    And, her practical knowledge was applied to the next class by changing
    teaching method or by supplementing her class contents in concerned part
    through class observation and class conversation with her colleagues.
    Teacher B was characterized as being lack of class confidence and
    concerned more about subject knowledge. She was forming a new
    practical knowledge along with new class teaching knowledge. Teacher B
    was in trouble with applying new practical knowledge to next class. From
    such findings, it was concluded that the process of changing or forming of
    practical knowledge depends on the beliefs, values, experiences, or
    knowledges of each teacher. A reflection on one’s own class teaching
    could be a good way to form a practical knowledge and improve teaching
    speciality, when it was concerned with self-reflection of their own class,
    class observation, and communication with colleagues. Thus, the reflection
    practice could be applied to the teaching program of teachers for the
    gifted to form practical knowledge through trial class, self-reflection of
    class, and conversation with colleagu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고, 과제의 내용을 보강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정말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재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