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대학생이 생각하는 한국과 미국의 암묵적 창의성에 대한 비교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7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7.01
27P 미리보기
한국 대학생이 생각하는 한국과 미국의 암묵적 창의성에 대한 비교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영재학회
    · 수록지 정보 : 영재교육연구 / 17권 / 2호
    · 저자명 : 성은현, 류형선, 하주현, 이정규, 한순미, 한윤영

    목차

    I. 서 론
    II. 연구방법
    III. 연구결과
    IV. 결과 해석
    V. 결 론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선행연구로
    서 한국 대학생의 한국과 미국에 대한 암묵적 창의성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은
    한국의 4년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으로 다중 응답하게 하였고, 빈도
    분석하여 해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한국의 대학생들은 한국의 창의성 특성에 대하여 인지적 특성,
    인성적 특성, 문화적 특성, 연구개발분야, 예술분야 등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이는 기존의 창의성 이론과 비슷한 방식으로 창의성을 인식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한국의 경우, 사회문화적 배경과 같은 환경적 특성은
    창의적 특성, 비창의적 특성 모두에 비중 있게 차지하였다. 셋째, 미국의 창의성
    을 개인주의적인 성향에 초점을 두어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비해 한국적 창의성
    에서는 공동체의식이 창의적 특성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f보다는 미국의 문화
    가 창의성을 발휘하는데 더 유리한 조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다섯째, 한국의 전
    통문화는 문화의 고유성과 우수성 그리고 현대적 활용 가능성 측면에서 창의적
    특성으로 인식되었다. 여섯째, 창의적 인물은 대학생들이 잘 알고 있는 예술가,
    경영자, 통치자, 과학자 순으로 인식되었다. 일곱째, 창의적 인물의 특성에 나타
    난 양 국가의 창의적 특성 비교에서 한국보다는 미국의 특성이 더 많이 반영되
    었으며, 이는 미국문화에 보다 익숙한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인물들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비교문화적 창의성 연구에서 동양적 창의
    성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찾았으며, 특히 전통문화와 전통재창조, 동양적 가치
    관 등이 서양에는 없는 우수한 문화자원이며 창의성을 지원할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제기되었다.

    영어초록

    As a previous study to investigate recognition gap of creativity between
    Korea and America, this study has examined Korean university students'
    implicit creativity toward Korea and America. The research method using
    in this study was as follows: The subject wer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and they were asked to answer multiply for open-ended questions.
    For the analysis of the answers, a frequency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t showed that Korean university students
    considered creativity trait as cognitive trait, personality, cultural trait,
    research and development areas and arts areas. This result means that
    Korean university students tend to recognize creativity similarly to the
    ways of established theories of creativity. 2) For the case of Korea,
    environmental trait like sociocultural background had great importance for
    all cases of creativity trait and non-creativity trait. 3) American creativity
    was recognized focused on individual tendency, on the while, community
    spirit was considered as creativity trait in Korean creativity. 4) It is
    considered that American culture had better condition for displaying
    creativity than Korean culture. 5) Traditional culture of Korea was
    recognized as creativity trait in terms of originality and superiority, and
    the possibility of modernistic use of Korean culture. 6) Creative people
    were ranked by artists, executives, rulers and scientists who were
    well-known to Korean university students. 7) In the comparison of
    creativity trait between the two countries revealed the traits of creative
    people, American creativity was reflected more than Korean creativity, This
    result seems that those people were favored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familiar with American culture. In conclusion, this
    study has found another possibility of creativity of the East among
    cross-cultural creativity studies. Moreover, this study has suggested that
    traditional culture and tradition renewal, and values of the East are
    superior cultural resources which are not exist in the West, and those
    are expected to play a role in developing creativit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재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