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복지국가의 빈곤 추세와 변화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7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5.02
27P 미리보기
복지국가의 빈곤 추세와 변화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57권 / 1호
    · 저자명 : 김환준

    목차

    1. 서 론
    2.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사회적 변화
    3. 빈곤의 국제비교에 관한 선행연구 검토
    4. 분석방법 및 자료
    5. 분석결과 및 논의
    6. 결 론

    초록

    본 연구는 룩셈부르크소득연구의 가구소득자료를 이용하여 1980년대 이래 서구 복지국가에서 빈곤
    의 실태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를 분석하고, 빈곤의 변화추세를 인구집단별 및 소득원별로 분해함
    으로써 경제사회구조 및 공적소득이전제도의 변화가 빈곤의 추세와 어떠한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탐색
    하였다. 연구결과는 먼저 대부분의 서구 복지국가에서 빈곤이 심화되는 추세에 있음을 보여 준다. 이
    처럼 빈곤이 심화되는 추세에 있는 것은 노령층이나 편부모가구 등 전통적으로 빈곤의 위험이 높은 인
    구집단이 증가하고 있는 때문만은 아니다. 노령층의 경우 연금제도 등 공적소득이전의 영향으로 인해
    생산연령층에 비해 빈곤상태가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시장소득의 빈곤도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추
    세에 있다. 편부모가구는 전반적으로 생산연령층 일반가구에 비해 빈곤의 정도가 심한 편이나 빈곤의
    변화추세는 노동시장정책 및 공적소득이전제도의 차이에 따라 국가별로 크게 다르게 나타난다. 서구
    복지국가에서 빈곤이 심화되는 것은 무엇보다 생산연령층 인구의 빈곤, 특히 시장소득 빈곤이 심화되
    고 있는데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경제의 세계화와 노동시장 유연화에 따른 실업 및 비정규직의
    증가, 저임금 노동자의 증가 등 최근의 경제환경 변화가 생산연령층 인구의 빈곤을 증가시키는 요인으
    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은데, 이에 대한 구체적이고 깊이 있는 분석과 함께 이 계층에 대한 빈곤정책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Since the 1980s, the western welfare states have experienced a wide spectrum of
    socio-economic changes; changes in population composition, the economic
    globalization, the post-industrialization, an increasing flexibility in the labor market.
    etc.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 of poverty in welfare states, and analyzes how
    those socio-economic changes are related to it.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first
    calculates the poverty indices for several years in 10 welfare states using the
    Luxembourg Income Study database, and then decomposes the index by
    subpopulation and income source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welfare state in general has experienced an increasing trend in the
    degree of poverty since the 1980s. In particular, poverty has greatly intensified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Netherlands. Many other welfare states including Canada,
    Germany, Sweden, and Norway have also experienced substantial increases in
    poverty.
    The increasing trend of poverty is not wholly due to changes in population
    composition such as increases in the aging population and one-parent(mother)
    families. Contrary to the traditional belief, these population groups are not as much
    poor as the working-age population. In particular, the degree of poverty in the
    elderly is less severe than in the working-age group. Furthermore, since the 1980s the
    market income poverty in the aging population has shown a decreasing trend in
    many welfare states. The degree and trend of poverty in one-parent families vary
    greatly across countries, owing to the labor market and income transfer policies.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e increasing poverty trend in the welfare state is
    that the degree of poverty has been deepening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Especially, the market income poverty of the working-age population has
    considerably increased in every country except the Netherlands. Structural changes in
    the economy and the labor market may drive the increasing trend of poverty.
    Further studies and deliberate anti-poverty policies are needed to tackle the factors
    relating to the increase in the market income povert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