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교육에서 사이버 학습 효과에 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4.02
19P 미리보기
역사교육에서 사이버 학습 효과에 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교과교육학연구 / 7권 / 3호
    · 저자명 : 전인영, 호정훈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사이버 학습을 활용한 역사과 교수-학습 모형 개발 적용
    IV. 연구 결과 분석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21C 정보화․세계화․개방화 흐름에 발맞추어 학교 현장과 교육 수요자인 학생의 교육정보화는 양적 보
    급에서 벗어나 질적인 도약이 필요한 시기이다. 이에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을 함양시키고 정보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인간상의 육성을 목표로 하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학습자가 많은 시간을 보내면
    서 가장 흥미 있어 하는 사이버공간을 역사과 교수-학습 활동에 접목시켰을 때 교육적 효과가 있는가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직접 사이버학습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이를 통
    한 역사학습을 진행하고 실시 전후의 흥미도 및 학업성취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업성취도와 흥미도
    면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으며 기존의 인터넷 사이버 학습 사이트의 단점인 정의적 측면의 교류, 학
    습일탈과 이해부족 등의 문제를 보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나타내었다.

    영어초록

    The 21st century is a time of information, globalization and opening. In this trend, there has
    been a big change in the quantity of education informationization for the students. But now it
    is time for the development of quality rather than the quantity.
    In this social trend, an evaluation of the educative effect of linking the cyber-space with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history is need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teacher herself developed an online learning program for online
    studying and analysis of the interest and accomplishment of the individual student to see how
    effective can this type of education can be, and see if it is possible to be realized in the real
    field of education.
    The study was made in the following process.
    For the 1st step, discussed about the theories of cyber education, and analyzed previous
    cases and studies.
    For the 2nd step, for the design of teaching-and learning of history by cyber education, a
    survey has made to analyze the environment of the student.
    For the 3rd step, based on the analysis from the previous steps, a model for teaching-and
    learning of history by cyber education was developed and carried out for 12 weeks.
    For the 4th step, 2 types of a 2nd survey was done after the test operation of the program,
    One with the students about the program itself, and another with the teachers about the
    reputation.
    For the 5th step, there were two test of the same degree of difficulty on different chapters.
    One chapter which online education was applied and another which conventional class
    education was done. The degree of accomplishment was evaluated based on the percent of
    correct answers for comparatively analysis.
    The result was as the followings.
    1st, teaching-and learning of history by cyber education showed a very affirmative change in
    fields of accomplishment such as the learning, ability and attitude.
    2nd, teaching-and learning of history by cyber education promoted the interest and
    understandings of the students for voluntary participation in class for realization of self-directed
    learning.
    3rd, by the teacher herself making and operating the cyber education, this solves the problem
    of lack of affection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Therefore, it could be seen that this can
    be a teaching-and learning tool which can realize the merits of both the face to face education
    and cyber education.
    4th, teaching-and learning of history by cyber education can complements the problems such
    as deviation of learning or lack of understandings through the internet.
    5th, teaching-and learning of history by cyber education itself demands ability of a high level
    and time for the development of the model. But, if the contents are well developed. it can be
    easily applied as a data for achievement evaluation, and maybe used as a reference at class
    through modification and supplement.
    The teaching-and learning of history applying cyber education can be an effective model for
    getting out of the one-side grinding for an active and self leading learning model focused on
    the student.
    For this, there is a need for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development of various methods
    and tests on a subject of a larger number of students. And a model best for each school or
    grade should be systematically developed.
    Also, for the maximization of the educative effect, improvement of the condition of the fields
    and system is very needed so that teachers can work together for construction of education
    contents and flexible operation of the program.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과교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5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