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60년대 ⌈사상계⌋의 경제 담론과 주체 형성 기획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4.12
34P 미리보기
1960년대 ⌈사상계⌋의 경제 담론과 주체 형성 기획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57권
    · 저자명 : 윤상현

    목차

    Ⅰ. 머리말
    Ⅱ. 1950년대 케인즈주의적 자유주의 경제 담론
    1. 1950년대 남한의 경제구조
    2. ⌈사상계⌋ 경제 담론의 변화
    Ⅲ. 1960년대초 수정자본주의적 불균형성장론과
    경제적 주체형성
    Ⅳ. 제3공화국기 인간개조론과 경제 담론의 변화
    1. 인간개조론
    2. 독점불가피론 대 독점비판론
    Ⅴ. 맺음말

    초록

    1950년대 경제개발 담론에 관한 국가주도/민간주도의 구분방식은 민
    간 내부의 자본-노동-소비 등 다양한 사회집단들의 차이를 간과하고, 국
    가가 민간과 다른 이해를 갖고 민간 내부의 이해로부터 자율적인 존재임을
    전제하고 있다. 또한 1960년대를 민족(내포적 공업화)/매판(소비재경공업
    화)으로 구분하는 접근법은, 이 시기 민족 내부가 급격한 자본주의화, 신흥
    대자본(재벌) 출현과 계급적 분화의 급속한 진행으로 계층?계급적 이해에
    따라 분화되는 현실과 다소 거리를 내정하고 있다.
    한국전쟁과 원조체제, 1954년 자유경제체제로 개헌이후 은행의 민영화
    과정에서 무역-금융-제조업을 계열화한 신흥대기업집단이 1950년대 후반
    형성되었다. 원조물자의 실수요자제, 저환율제도, 저금리제도 속에서 대기
    업집단이 생산한 상품을 원료로 사용하는 중소기업들과, 대기업집단의 무
    역회사로부터 수입된 외국산 원료를 사용하는 중소기업들은, 계열화된 기
    업집단의 산품 가격이나 수입 자재가 인상에 상반되는 이해관계를 갖고
    있었으며, 국내원료를 사용하는 중소기업, 농민, 도시소비자, 노동자 등은
    이들과도 다른 입장에 있었다. 이승만정부는 귀속주 불하과정에서 자격심
    사 등을 통해 육성할 대기업집단을 선택하는 한편, 시장가격보다 낮은 저
    환율제도, 저금리제도를 고수함으로써 상업자본 성격의 대기업집단의 급
    격한 자본축적을 가능케했다.
    한국전쟁기부터 동양적 후진성을 개진하던 ?사상계?는 귀속기업 및 귀속은행주 불하, 금리와 환율의 시장가격으로 현실화, 농공의 동시발전 등
    을 제기하였다. 여기에는 무역에서도 전적으로 시장가격기구에 의존할 것
    을 주장하는 고전파적 흐름도 존재하였으나, 케인즈주의에 영향을 받은 재
    정정책을 통한 농공 동시발전 혹은 영국?일본 등 농업과 관련된 소비재중
    심의 공업화 추진 등이 우세하였다. 그러나 1958년경 은행귀속주 불하의
    현실화와 저금리? 저환율의 정책이 신흥재벌의 형성이라는 현실로 귀결되
    었을 때, 사상계 경제담론은 농공 불균형성장에 기초한 급격한 산업구조개
    편론, 독점불가피론이 대두하였다. 1960년대 초 ?사상계? 경제관련 담당
    자들은 불균형성장론의 현실화를 위한 내핍, 검약, 검소 등 내자동원에 필
    요한 국민적 경제 주체 형성을 추진하였다.
    군사쿠데타이후 부정축재자처리과정에서 경제계에는 경협을 비롯한 기
    업집단들의 집단화가 급격히 진행되었다. 이들은 민정이양후 가격카르텔,
    대리점 독점판매 등을 통해 정권과 힘겨루기를 하며 독점가격을 형성하고
    공기업의 민영화 과정을 통해서 급격히 재벌집단을 형성하였다. 이 과정에
    서 군정초기 인간개조운동은 인적 내용적 측면에서 사상계의 내핍 검약
    검소의 주체 형성 기획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민정이양후 ?사상계?에는
    독점불가피론 및 대기업중심성장론, 선성장후분배론 등이 대두하였고 다
    른 한편으로 독점비판론 및 균형성장론도 등장하였다. 그러나 후자는 경제
    노선으로서 구체화되지는 못하였고 오히려 기업가정신 및 근대적 시민정
    신의 강화라는 형태로 드러났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outlines one aspect of South Korea’s complex intellectual
    landscape in the 1960s through a close reading of the magazine
    Sasanggye, which represented a type of liberalism distinct from its
    Western counterparts.
    The Sasanggye circle subscribed to the notion of Oriental
    backwardness. Their worldview based on the binary of advanced West
    vs. backward Orient facilitated the adoption of development theories
    that promised the modernization of an underdevelopment society such
    as South Korea. In the middle of the 1950s, Sasanggye represented the
    Keynesian economic liberalism and corporate capitalism associated with
    the newspaper Dong-A Daily. The belief was that the Keynesian
    economic discourse that had rescued American capitalism from the
    Great Depression could be adapted into an economic thought for
    directing South Korea’s burgeoning capitalist economy. By the late
    1950s, the Sasanggye circle accepted the theory of unbalanced
    economic growth that favored large corporations and industrial centers
    at the expense of agrarian communities.
    Following the April Revolution of 1960, the Sasanggye circle began to define and advocate an economic subjectivity that represented this
    particular brand of Korean liberalism. This subjectivity celebrated such
    virtues as austerity, diligence, and thrift and downplayed the importance
    of social service and income redistribution. From Sasanggye, the May
    16 dictatorship appropriated this new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that privileged quantitative growth, advocating a citizen-making program
    that sought to “remold the people” according to this new economic
    subjectivit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지식과 통찰을 얻을 수 있었고, 과제를 를 보완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6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