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수행공학인가? 성과공학인가?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4.12
21P 미리보기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수행공학인가? 성과공학인가?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업교육연구 / 16권 / 2호
    · 저자명 : 장환영

    목차

    Ⅰ. 서 론
    Ⅱ. 수행공학 명칭에 대한 오해
    Ⅲ. 성과공학으로의 명칭 변경에 대한 근거
    Ⅳ. 결 론
    참고문헌

    초록

    우리나라에서는 Human Performance Technology(HPT)가 “수행공학”이라는 명칭으로 번역되어 사용
    되고 있다. 본 연구는 HPT분야가 보다 미래지향적으로 발전할 수 있기 위해서는 한국적 명칭을
    바로잡음으로써 HPT의 핵심내용과 정체성이 활용자들에게 잘 전달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피력하
    였다. 먼저 본 연구는 수행공학이라는 명칭이 초래한 오해를 파악해보았는데, 첫째 수행공학 명칭
    은 행동변화에 초점을 두게 한다는 점이고, 둘째는 상황적 요인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다는 것, 셋
    째는 조직차원의 성과를 무시할 수 있다는 점, 넷째는 조직적 정렬(alignment)등 시스템적 사고가
    미흡하다는 것, 그리고 마지막으로 다섯째 수행공학은 훈련에 대한 강조와 무차별하다는 점을 지
    적하였다. 대안으로서 “성과공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는데, 그 근거로서는 첫째,
    성과공학이라는 용어가 HPT 원칙에 충실하다는 점, 둘째 조직성과에 대한 관심을 촉구한다는 점,
    셋째, 분야의 확장성과 질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 넷째 성과공학이라는 명칭이 융합적 해
    결책을 제시하는 데에 더 적합한 용어라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연구자의 논지는 물론 많
    은 이슈와 논의가 수반될 수밖에 없으며 추후 논의의 확장을 위해서는 명칭변경에 따라 분야(field)
    가 제시할 수 있는 이슈들과 제한점들이 있음을 결론으로 서술하였다. 이러한 이슈에는 HPT에서
    “H”의 포함여부, HPT 정체성과 확장성 사이의 딜레마, HPT 실천가들의 전문성, HPT의 다른 분야
    와의 차별성 문제 등이 포함된다. 끝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HPT 분야의 성장과 확장을 위해서는
    HPT 학자 및 실천가들 사이에서 한국적 명칭에 대한 깊이 있는 토론이 필요한 시점임을 강조하
    였다.

    영어초록

    Human Performance Technology(HPT) is called “Suhaengkonghak” in Korea. This article aims to call
    into question whether the term “Suhaengkongkak (遂行工學)” is the right translation of HPT in
    Korean and to suggest to use the term “Sungkwakonghak (成果工學)” as an alternative. Five points
    were indicated as unnecessary misunderstandings caused by Korean HPT experts' using the term
    “Suhaengkongkak”; first, Suhaengkongkak's focusing on employees' behavior change rather than
    organizational results change, second, lack of considerations on context variables, third, possibility to
    ignore the performance in organizational level, fourth, insufficient considerations on systemic approach
    such as organizational alignment and analysis in accordance with levels of performance, and lastly
    indifference with education and training interventions. This paper discussed the positive sides when we
    use the term “Sungkwakonghak” instead; first, the term “Sungkwakonghak” reflecting the HPT
    principles thoroughly, second, sufficient consideration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ird, the term's
    helping the expansion and qualitative growth in the field of HPT, and fourth, adequate to provide a
    variety of multi-disciplinary solutions. This argument inevitably leads to lots of discussions among Korean
    HPT experts including the issues such as the dilemma between searching for the identity and expanding
    the boundary in the field of HPT, the different perspectives on human variables in performance
    problems, and highlighting the HPT's differentiation values from other similar disciplines. As a
    conclusion, this article suggests the need of Korean HPT experts' full attention and discussion on the
    right translation of the term “human performance technology” in Korean for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the HPT field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매우 유익하고, 주제가 잘 정리되어 있어 학습에 큰 도움이 됩니다. 특히 자료의 품질이 높고, 내용이 풍부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업교육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콘크리트 마켓 시사회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