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학생들의 성취도 변화점수에 기초한 학교효과 평가 모형 개발 연구: 학교책무성평가를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 비교

2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8.01
25P 미리보기
학생들의 성취도 변화점수에 기초한 학교효과 평가 모형 개발 연구: 학교책무성평가를 위한 다양한 접근 방법 비교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18권 / 4호
    · 저자명 : 성기선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및 해석
    V.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실시한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
    나라 중학교의 학교효과를 분석하는 다양한 접근방법들을 검토하면서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분석하
    는 것이다. 아울러 이 연구에서는 최근 학교책무성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면서 학교를 단순한 성취
    도 수준으로 서열화하고 평가하려는 움직임이 얼마나 비과학적이며 오류가 많이 발생할 수 있는지
    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횡단적인 자료에 근거한 학생들의 성취도 수준이 해당 학교의 교원과 학교
    의 교육적 노력의 결과물이라고만 볼 수는 없다. 누적적으로 발생하는 학생들의 성취도 격차는 다
    양한 변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볼 때 고유하게 해당 학교를 다니면서 변화한 점수 중에서 가
    정배경변인이나 개인 노력변인의 효과를 제외한 학교효과의 크기가 어느 정도이며 그 크기는 기존
    의 학교 입학 당시의 학생들의 가정배경에 의한 학업성취도 격차를 줄여주는 효과를 보일 수 있는
    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평균점수, 2-수준분석, 3-수준 성장모형 분석을 통해
    얻은 학교효과에 대한 결과자료들은 서로 이질적이며 일관성이 매우 낮았다. 아직까지 고부담 학교
    책무성 평가를 학생들의 성취도를 기준으로 시행하기에는 이론적으로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준
    비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학교책무성 평가를 위해 학생들의 성취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향후
    우리 사회에 적합한 학교효과 모델이 무엇이 될 것인가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더욱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영어초록

    The major concern of this study is comparing the diverse methods of educational accountability
    evaluation using KELS(Korea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and finding the meaningful implication
    for policy in Korea. To evaluate genuine school effects we have to consider the starting point of
    students and the growth rates of students during school years. In this study I criticized the general
    approaches and common perceptions about school accountability evaluation. In this society people
    think that a school with a high student achievement level is an effective school, while one with a
    low student achievement school is ineffective. This is a very unscientific approach and also distorts
    teacher and school's efforts to teach students. And so I tried to compare the results of four methods
    to evaluate the school effects. First, I calculated the mean score of first grade year for each school,
    and ranked the order of the schools. And second, using the difference score of third grade score and
    first grade score, I also ranked the order of the schools. Third, using 2-level HLM model I could
    get the residual file, including the school score, and rank them. Finally I tried to run 3-level growth
    model so I could get the school score and rank them also. Between these indexes there were no
    positive relationship and consistency. These results show that using the simple mean score of school
    to evaluate high-stake accountability is a dangerous and irrational approach. From now we have to
    develop more reasonable school effect model to know the authentic school effect, and so we cannot
    use school accountability system using school achievement level. More time and more efforts will be
    necessary for adopting this school accountability system to our 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 덕분에 ,복잡했던 과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질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완벽한 자료였습니다. 매우 추천합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사회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