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교육정책에서 공적 가치와 사적 자유의 딜레마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7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8.01
17P 미리보기
교육정책에서 공적 가치와 사적 자유의 딜레마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사회학연구 / 18권 / 1호
    · 저자명 : 오욱환

    목차

    Ⅰ. 국가정책의 속성
    Ⅱ. 교육정책의 한계
    Ⅲ. 공적 필요와 사적 욕구의 딜레마 관계
    Ⅳ. 한국의 교육정책: 편집?각색된 현상에 의한 과잉 기대
    Ⅴ. 공적 가치와 사적 자유의 조화: 현실의 비판적 직시에 의한 배려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한 국가의 교육은 공적 가치의 구현과 사적 자유의 신장에 의해서 유형이 만들어진다. 공적 필
    요는 국가적 재원의 확대와 공유로 수렴되며, 사적 욕구는 개인적 이익의 극대화에 치중한다. 개인
    들의 욕구는 다양하고 무한하므로, 공적 필요는 그 욕구들을 조절하는 양상을 띠게 된다. 이 때문
    에 공적 필요와 사적 욕구는 조화되기 어렵다. 국가에서 시행되는 어떠한 종류의 교육정책도 각기
    다른 현실에 처한 국민들의 다양하고 무한한 교육 욕구를 충족시킬 수는 없다. 당연한 결과로서,
    그 정책들은 어떤 사람들에게 유리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교육정책
    들이 국가의 이름 아래 구상되고 집행되지만, 실제로는 어떤 개인들 또는 집단들의 소산물일 수밖
    에 없기 때문에 사적 주관의 개입을 의심받게 된다. 한국사회에 만연되어 있는 교육정책에 대한 불
    신은 정책들이 직감, 일시적 생각, 즉각적 필요 등에 의해서 조급하게 구상되고 일방적인 강요처럼
    집행되는 데 기인한다. 그리고 시행되는 정책들은 시공간적으로 제약을 받을 수 있음을 무시하고
    보편타당성을 강조할 뿐만 아니라 모든 문제들을 말끔히 해결할 수 있다는 식으로 홍보함으로써
    비판?비난의 소지를 자초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신자유주의에 입각한 수월성주의 교육정책이 선진
    국의 사례를 준거로 삼아, 한국사회의 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거스를 수 없는 대세처럼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을 타고 교육에서의 부모주의가 지배집단에 의해서 강력하게 전파되면서 교육불
    평등을 심화시키고 사회를 양극화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공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마련된 자유주
    의 교육정책에 의해, 경제?사회?문화적 자본을 보유한 지배집단과 박탈된 피지배집단 간의 학
    력?학벌 격차가 더욱 벌어질 것이다.

    영어초록

    A nation's education is shaped by the interaction of public value and private freedom. Public value
    is achieved through affluent expansion and equal distribution of national resources. Private freedom is
    fulfilled through the maximization of personal desire. Public value seems to control over unlimited
    personal desire.. In this reason public value frequently conflicts with private freedom.
    Any educational policy cannot satisfy everyone because of his/her various educational desire
    according to situation. An educational policy can give some advantage to one person and
    disadvantage to other person at the same time. Any educational policy, even being decided in the
    name of the state, is inevitably the product of any individuals or groups. As a result, any policy is
    dubious of its universality.
    Many educational policies enacted in Korea have been seriously criticized and sometimes rejected
    because they might be motivated by a hunch, whim, or immediate need, designed without a full
    investigation and theoretically-oriented research, and published and enforced obedience. Korean
    government has usually emphasized the educational policies as panacea to solve the long-pending
    problems and issues. However, panacea should be inevitably claimed its remedial result.
    Nowadays, neo-liberal educational proposals are flooding in Korea. Excellence-oriented educational
    policies are amplified through many scholars arguing the neo-liberalism and neo-conservatism as
    worldwide universal trend, that we cannot ignore. Parentocracy in education, eagering to take
    advantage of the trend, is dominating all over the Korean society. Parentocracy in Korea is so strong
    that educational inequality between the have and the have-not is reproduced systematically and, as its
    result, social inequality is also structurally and legitimately reproduced. Korean society is now
    transforming to a polarized class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사회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