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실천학’으로서의 ‘실학’ 개념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3.05
35P 미리보기
‘실천학’으로서의 ‘실학’ 개념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집 / 33호
    · 저자명 : 조성환

    목차

    I. 들어가며
    II. 본론
    III. 맺음말 - 실천학으로서의 ‘학’

    초록

    이 글은 지난 80여 년 동안 역사학계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던 ‘근대적 실학관’을 일단 괄호에 넣고, 가능한 한 조선사상사의 문맥에 즉해서 ‘실학’ 개념을 이해해보고자 하는 초보적 시도이다. 여기에서 ‘근대적 실학관’이란 조선후기사회를 서구적인 근대국가로 나아가는 과정으로 파악하고, 실제로 역사 속에서 그와 같은 사상적·제도적·경제적 흔적들을 찾아내어 이른바 ‘실학’이라는 학문범주로 묶고자하는 사상사적 관점을 말한다. 이런 문제의식 하에 이 글이 주목한 개념은 율곡 이이의 ‘실심’이다. 율곡의 ‘실심’(實心)은 이후에 등장하는 ‘실심실학’ 개념을 준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며, 특히 ‘실리’(實理)와 짝을 이루어 독특한 해석체계를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다. 여기서 ‘실리’란 “대자연을 끊임없이 운행 시키는 우주의 원리 내지는 추동력”을 말하고, ‘실심’은 그런 원리나 추동력이 인간의 마음에 내재해 있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현실에서 천리를 실현시키고자 하는 실천의지”를 가리킨다. 율곡은 변화를 세계의 본질로 파악했으며, 이러한 세계관이 그의 제도개혁론의 철학적 근거로 작용한다. 동시에 인간은 그런 제도적 개혁과 그것의 바탕이 되는 도덕적 실천을 이루어낼 수 있는 가능성을 마음 안에 갖추고 있는데 그것이 바로 ‘실심’이다. 율곡의 ‘실심’ 개념은, 한편으로는 조선전기에 ‘경’ (敬)과 더불어 강조되어 왔던 ‘성’(誠)의 덕목을 잇고 있으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실천성’이라는 보다 적극적인 함축이 가미되어 새롭게 ‘재해석’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후에 실학의 선구자로 꼽히는 이수광은 율곡을 계승하여 “실심으로 실정(實政)을 행한다”는 정식화된 명제를 사용함과 동시에, 사사물물에 들어있는 ‘리’를 다시 종교적인 ‘천’으로 재해석하는 퇴계적인 의미의 경천사상도 제시하고 있다. 한편 율곡의 ‘실심’ 개념은 주자학에서 자칫 약화되기 쉬운 ‘실천’(行)을 강조한다는 점에서는 양명학과 문제의식을 공유하고 있으나, 마음과 독립적인 ‘물리’(物理)를 인정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여전히 주자학의 틀을 고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적극적인 실천을 강조하는 ‘실천학’으로서의 ‘실학’ 개념은 이미 율곡의 ‘학문관’에 배태되어 있고, 이후에는 다산 정약용의 ‘행사’(行事) 개념이나 동학의 “(동학을) 한다”고 하는 의미로서의 ‘학’ 개념으로 이어진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preliminary study which challenges the dominant view of
    Sirhak during last 80 years. Sirhak has been viewed as a modern thought by
    most of the historians who made effort to discover a modern factor at
    philosophical, political and economical aspect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In
    this article, the author focuses on the concept of 'Silsim'(實心) in Yulgok which
    makes a pair whit Silli(實理). In Yulgok's philosophy, Silli means a kind of
    principle which makes universe unceasing, and Silsim refers to a practical will
    which can realize such principle at everyday life. Yulgok thought change is an
    essential character of universe, and so political innovation is needed when
    society changes. And Silsim makes it possible to do moral practice and
    institutional reform.
    Silsim of Yulgok, on one hand, succeeds 'Seong'(誠=sincerity) which was
    considered as an important religious and moral attitude from early period of
    Chosun, and on the other hand interprets it as Sil(實=practice). Later, Yi
    Sugwang uses a phrase of "doing practical politics(Siljeong) with practical
    mind(Silsim), and this phrase was used by many thinkers in the late period
    Chosun. He also succeeds Teogye's thought of 'reverence on Heaven' which
    interprets Li in the philosophy of Zhuxi as religious Heaven.
    Yulgok is similar with Wang Yangming in that he pays emphasis on
    'practice'(行), but different with Wang Yangming in that he thought, like Chu
    Hsi, mind does not exist independently with Li. Yulgok's concept of Silhak as
    a practical learning has its root in his view of learning, and we can find
    similar concepts in later period, for example 'haengsa'(行事) in Dasan‘s
    philosophy or ‘learning’(學) in Eastern Learning(學).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덕분에 과제 제출 기한을 맞출 수 있어 정말 감사했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