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중요성과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3.04
14P 미리보기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중요성과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주거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24권 / 2호
    · 저자명 : 신화경, 조인숙

    목차

    I. 서 론
    II. 주거환경에서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중요성 및 특성
    III. 주거환경에서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지표
    V. 결 론
    REFERENCES

    초록

    경제적 가치를 중시한 경제성장 정책으로 1970년대 이후 공기오염, 수질오염, 폐기물 급증 등의 환경문제가 등장하였고, 이를 국제사회가 함께 해결해야할 문제로 인식하면서 함께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을 해왔다(Suh,2004).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1972년 6월 환경문제를 의제로 한 유엔인간환경회의를 시작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에대한 관심이 시작되었고, 이후 다양한 국제사회의 노력이시작되었다. 1992년 리우회의 의제 21(Agenda 21)에서 주거 및 도시에서의 지속가능성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지방정부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이후 1996년 유엔인간정주 회의를 통해 Habitat II를 발표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주거정책의 기초로 활용할 수 있고, 인간의 건강과 삶의 질 추구를 위한 실천항목을 제시하였다(Kim, 2010).이런 일련의 활동들로 인해 국제사회는 경제중심의 양적 성장이 아닌 인간의 삶의 질, 행복, 복지 등에 관심을줄 수 있는 질적 성장으로의 변화가 필요함을 공감하였다. 이로 인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지속가능한 발전’의중요성을 인식해오고 있다.한편, 우리나라에서도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공감이생기면서 2001년 제정된 ‘국토기본법’과 2004년 ‘지속가능한 신도시 계획기준’을 발표하면서 지속가능한 도시 및주거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고 있다(Moon, 2007). 국내에서는 1992년 리우회의 이후 환경문제를 중심으로 한 연구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고(Yang, 1993; Park et al, 1998;Park 1998), 2000년 이후에서부터 지속가능한 도시 및 주거지에 대한 요소로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지속가능성등 3가지 요소를 함께 조사하는 연구가 등장하였다(Kim,2001; Lee and Hwang, 2003; Suh and Yim, 2004; Kim,2008; Lee and Yeom, 2008; Kim, 2010). 최근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주거지를 위해서는 사회적 지속성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이에 대한 평가 지표 및 계획요소를 제시하고 있다(Song, 2006; Kim, 2008; Park, 2011; Rim andChoi, 2011). 한편, 개인이나 집단을 지탱해주는 일련의 믿음 체계인 사회적 지속가능성은 사회적 변화가 가져오는 충격의 완충장치로서 역할을 할 수 있어(Kim, 2008), 환경적 지속가능성과 경제적 지속가능성보다 선행될 때(Park, 2009),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일련의 믿음 체계는 우리가 흔히 말하고있는 커뮤니티를 의미하는 것으로 커뮤니티는 사회적 지속가능성을 높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있다.지금까지의 많은 연구는 친환경, 생태, 환경친화 등의용어를 통해 환경적 지속가능성의 중요성 및 지표에 대한 연구가 많았고, 최근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평가 지표에 대한 연구가 등장하면서 사회적 지속가능성의 중요성과 평가지표가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 환경, 경제,사회적 지속가능성 요소를 모두 포괄하는 평가지표를 제시하고 있어 커뮤니티 요소 측면에서의 구체적인 사회적지속가능성 평가지표는 상대적으로 미비하다1).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 요소 측면에서 주거환경의 사회적 지속가능성 평가지표를 도출하여, 사회적 지속가능 측면에서 주거정책, 주거지 개발 및 계획 방향에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Sustainable development has been praised as important new planning paradigm. The concept is being increasingly usedin planning processes to address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sustainable development. The social sustainability isimportant as community in modern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mmunity elements of sustainablehousing to make it better life in residential environment. The Methods are content analysis and experts survey. Weexecute the literature for method to find the importance and indicator of social sustainability. We execute the expertssurvey to find the adequacy of the classification criteria, the adequacy of the indicators and the adequacy of theclassification syst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the social sustainability is important to support thesustainable housing planning. The indicator of the social sustainability is deduced; ‘Locality’ are deduced ‘Nativesupport’, ‘History and culture’ and ‘Reflected the local characteristics’. ‘Communality’ are deduced ‘Citizen participation’,‘Social integration’, ‘Community space and facilities’ and ‘community activities and programs’. ‘Organic’ are deduced‘Employment’, ‘Self-sufficiency’, ‘Safety and convenience’, ‘Infrastructure and service’ and ‘Housing cond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이 잘 어우러져 있어 학습에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 작성 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주거학회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