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문화와 연계한 지역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수원화성박물관을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2.06
22P 미리보기
지역문화와 연계한 지역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수원화성박물관을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수록지 정보 : 박물관학보
    · 저자명 : 백진주

    목차

    Ⅰ. 서론
    Ⅱ. 지역박물관의 이론적 배경
    Ⅲ. 지역유산 수원화성(水原華城)에 대한 고찰
    Ⅳ. 수원화성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 소개 및 활성화 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웹사이트

    초록

    오늘날 박물관들은 점차 유물을 수집?보존?연구?전시하는 기능 이외에 지역의 특성화에 초점
    을 맞춘 교육과 직접 느낄 수 있는 문화 체험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다. 교육이 늘어나면서 지방 박물
    관들은 지역주민과 함께 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박물관과 지역주민 간의 일체성이나 지역 주민 스
    스로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하려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박물관 교육은 이제 지역주민을 위한 평생학습 교육의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지역주
    민의 적극적이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함으로써 박물관은 박물관 중심이 아닌 지역주민과 함께 하는
    문화공간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특성을 살린 수원화성박물관을 중심으로 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수원지역의 특성을 살려 건립된 수원화성박물관은 수원화성을 중심 배경으로 정조와 그 당시의
    역사적 문화에 대한 내용을 전시하고 있으며, 수원화성의 문화유산 가치를 보전하고, 지역문화를 함
    께 공유하고 활용할 수 있는 문화공간으로 자리 잡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지역의 특성을 살린
    수원화성박물관 교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된 배경 및 목적으로 본 연구의 전반
    적인 내용과 구성 체계를 서술하였다.
    또한 지역박물관의 오늘날 역할을 바탕으로 지역유산인 수원화성의 역사적 배경과 건축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 이와 관련된 문화기관을 통해 교육 현황에 대해 알아보며 문제점 및 개선점에 대해
    서술하였다.
    활성화 방안을 위한 결론으로 수원화성박물관은 수원화성을 아울러 지역 모두를 박물관으로 변화
    시켜 지역의 문화적 가치를 성장가능성을 제고하고 지역유산 보전 및 지역유산 활성화 방안을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적극적으로 제안함으로써 지역의 문화적 활성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수원의 지역유산인 수원화성을 배경으로 수원화성박물관에서는 미래지향적이고 다양하며 특성화
    된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더욱 흥미롭고 다양한 문화학습공간이 되길 바란다. 더불어 지역주민 및 대
    중에게 더욱 문화교육기관으로 인식되길 바라며 지역사회의 중심적 공공기관으로 지역문화에 선도
    할 수 있는 박물관으로 자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영어초록

    Museums of today expand the opportunity of local characteristic-focused education and
    firsthand cultural experience in addition to its conventional function of collection, preservation,
    research and exhibition of relics. With the increase of education, local museums have worked
    out community programs and tried to create a sense of unity with local residents and make
    them establish regional identity for themselves.
    Therefore, museum education is now positioned as a space of life-long education for local
    residents and induces local residents’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in it, thus becoming not
    museum-oriented but local resident-oriented cultural space.
    In this regard, this study examined the activation strategy of museum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Suwon Hwaseong Museum that activated local characteristics. Established based on
    the local characteristics of Suwon, Suwon Hwaseong Museum exhibits relics and historical
    culture that are related to King Jeongjo, with the background of Suwon Hwaseong (fortress).
    In addition, its other aims are to preserve Suwon Hwaseong’s values of cultural assets and be
    placed as a cultural space that can share and make the most of local culture.
    It is also necessary for Suwon Hwaseong Museum to be positioned as a more interesting and
    diversified learning space of culture via establishing future-oriented diverse and specialized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the local asset of Suwon Hwaseong. The investigator hopes
    that Suwon Hwaseong Museum is perceived as an agency of cultural education by residents
    in Suwon and the public and positioned as a museum that can take the lead in local culture
    as a pivotal public agency of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