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생태박물관과 박물관 교육 -북촌마을을 생태박물관으로 볼 때 박물관 교육-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7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3.01
27P 미리보기
생태박물관과 박물관 교육 -북촌마을을 생태박물관으로 볼 때 박물관 교육-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박물관학회
    · 수록지 정보 : 박물관학보
    · 저자명 : 오명숙

    목차

    Ⅰ. 머리말
    Ⅱ. 생태박물관의 개념
    Ⅲ. 생태박물관과 북촌마을의 상관관계 분석
    1. 생태박물관의 구조와 기능
    2. 북촌마을의 생태자원 현황
    3. 외국의 생태박물관 사례
    Ⅳ. 생태박물관의 박물관 교육
    1. 생태박물관의 교육목표
    2. 생태박물관의 박물관 교육 사례
    Ⅴ.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그동안 박물관을 떠올리면 고고역사, 미 술사, 민속박물관을 일반적인 박물관으로 여겨왔다. 이
    들 박물관들은 박물관이라는 실체적 건축물 안에 수집물을 전시하는 방식으로 관람객과 일방적으
    로 소통하였다- 오늘날 정보사회에서는 쌍방향 통신을 위한 새로운 박물관의 개념이 필요한 시대
    가 되었다. 일방적으로 주어지는 전시의 개념을 벗어나 스스로 참여하고 창조하는 지역공동체의
    구심점으로 박물관의 역할이 증대되어야 할때다
    박물관의 기능을 「과거 인류가 남긴 문화유산을 수집 , 보관, 전시하는 곳」이라 하던 초기 ICOM
    에서의 정의가 이제는 「인간과 인간환경의 물질적인 유형의 증거를 보유하고 연구하여 전시리는
    수단을 통해 일반공중에게 공개하여 교육적인 성과를 거두도록 하는 모든 항구적인 시설」을 뜻하
    게 되었다 1) 박물관의 기능도시대에 따른다른 양상을땀을 볼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Cultivating Bookchon’, one of urban regeneration businesses promoted
    by the city of Seoul in the light of the concept of ecomuseums. It is argued that this business is
    possible to preserve and succeed traditional culture only by approaching from the concept of
    ecomuseums since it aims at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Korean houses.
    This article defines the structure and functions of ecomuseums to understand their relationship
    with Bookchon, which is being developed in terms of a historical, cultural value and the
    preservation of traditional houses. It also explores that ecomuseums are the combination of lifelong
    learning and local commmuties by studying a system of ecological circulation which brings
    human, natural and social environment together relatively ignored until now. It suggests the
    directions of ecomuseum education as a means of subjects and methods, and future-oriented
    value of musemll education.
    Ecomuseums consider the life of the living in nature as material evidence. They encourage local
    population to participate actively in collecting, preserving, studying and exhibiting this life.
    Therefore, they may be defmed as a non-profit and permanent institution in order to contribute to
    research, education and science.
    Ecomuseums are multidisciplinay integrat:ion covering the fields of individul disciplines, and
    they should cultivate both the nature and human environment of a commmuty over times. One of
    their specific elements distinguished from conventional museums is to distribute an educat:ional
    role of museums to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as the embodiment of ordinary life. In other
    words, ecomuseums are a communily movement of the commllnity realization in preserving,
    studying, exhibitng, and educating the ecology of the community.
    While traditional museums select objects separated from a sense of community, ecomuseums
    present objects on display derived from the process of history and change of a local community
    and the lives of local people become the educational material. Museum staff operate the
    collection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mes in traditional museums,
    whereas ecomuseums are maintained by voluntary work and discussions of local people.
    Educational goals of ecomuseurns should be interactive education for the survival of nature and
    human beings, peace education for understancling of the characteristics between regions and
    generations, and living cultural education for continuosly possible development.
    The educational goal of <experiential class of old days> provided in the cultural center of
    Boochon is to understand particularity of our culture and practise it. It aims at realization of
    human beings who may select themes from the life experiences, discover their meanings and
    values, and practise them as a culture in life
    It should be considered to make Bookchon as cultivating, house improvement business, or
    accommodation and experiential space to activate cultural industry. Moreover, local people
    should cherish and grow their own culture, and make a structure regenerated as cultural industry.
    They should form a mllseum structure as its original, accept the whole functions of traditional
    museums such as research, collecting and education, and connect to lI niversity education,
    specialised human resource, which employs local ecological resource. As traditional culture
    becomes diluted and disappearing, ’Cultivating Bookchon’ should be approached in
    multidisciplinary way.
    Bookchon should be an ecomuseum which introduces museum marketing for reasonable
    management, improves quality of life, and shifts the direction of existing cultural industry. In
    order that local people in Bookchon live an ecological life and make it a movement to share, they
    and institutions concerned should be aware of the concept of ecomuseums. ThllS, Bookchon
    should be a local museum which discovers, researches and educates their ecologial resource.
    In the future, if we make Bookchon from the perspective of ecomuseums, this will be a shortcut
    to preserve traditional culture, and to overcome conflicts from the lack of other cultures, different
    points of views between generations and uniformity of local cultures according to the policy of
    new liber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지식의 폭이 넓어지는 기분입니다. 지식판매자 덕분에 많은 것을 배우고 있습니다. 정말 추천하고 싶습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