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여성 독립운동과 여성 보훈정책의 과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3.12
29P 미리보기
한국 여성 독립운동과 여성 보훈정책의 과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보훈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보훈논총 / 12권 / 4호
    · 저자명 : 심옥주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한국 여성 보훈대상자 현황과 관련 단체
    Ⅳ. 한국 여성 보훈정책의 과제
    Ⅴ. 결 론
    참고문헌

    초록

    일제강점기 민족독립운동에 투신했던 순국열사와 애국지사는 늘 관심의 대상이다. 이
    들에 대해 '독립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이래로 관련 예우법이 적용되어왔
    다. 한국여성독립운동을 살펴보면, 2013년 기준으로 현재 233명이 국가에서 인정받고
    있지만 관련한 추가연구 및 대중홍보미비로 인해 대상자연구는 기초수준에 머물고
    있다. 그래서 민족독립운동의 과정에서 활약했던 여성의 존재감을 회복하기 위해서
    학계나 관련 연구기관, 보훈정책이 연계 구도를 형성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이런 관점에서 연구자는 한국여성독립유공자의 발굴흐름을 연도별, 시기별로 구분하
    였고 여성독립유공자현황과 특성을 분석했다. 분석 자료를 살펴보면, 대체로 1990년대
    전후는 독립유공자 발굴에 주력했던 시기인 반면, 2000년 이후에는 발굴정체시기인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현재 여성보훈기관 및 단체는 소수에 불과하고 여성참여도도
    낮은 비율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여성독립운동의 국가 보훈적 가치는 여성과
    민족, 역사의 정체성을 대변할 뿐만 아니라 여성의 자발적 애국심이 발휘된 사례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따라서 현실적인 여성보훈정책의 필요성에 주목하여, 추가적인
    사료 발굴, 대상자 선정확대, 지역전문가 확보 등를 통해서 국가-젠더-애국의 실천사
    례로 부각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해야 하며, 향후 한국여성독립운동은 한국독립운동
    사의 중요한 부문으로, 자발적인 여성의 나라사랑정신의 실천사례로서 주목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atriots who laid down their life for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patriots who devoted their life to the movement in the era under the colonial
    administration of imperial Japan have been always the object of attention. After
    'the law for the respectful treatment of the men of national merit of the
    independence' was legislated, the law for the respectful treatment has been applied
    to them. In the sector of Korean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the 233
    persons are acknowledged by the country based on the year 2013 but the
    respectful treatment is stagnant at the basic level of acknowledging the recipients
    who are the men of national merit owing to insufficient additional studies and
    public relations related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Accordingly, in order to
    recover the sense of existence of women who were active in the process of the
    national independence movement, it is important to form a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academic world, related research institutes and the policy of reward
    and welfare for the patriots. In this viewpoint, the flow of finding Korean women
    of national merit of the independence was classified by the year, and the present
    situation and the characteristice of the women of national merit of the
    independence in each of the period were analyzed. If we look into the analysis of
    the materials, the 1990's was the period when Korea was concentration of finding
    the men of national merit of the independence, 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period
    after the 2000's was the time when finding them was stagnant. Presently there
    are only a little number of the reward and welfar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for woman of the national merit and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women appears
    to be low. In spite of the above fact, the value of the national reward and welfare
    for the women of national merit of Korean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represents the identity of women, nation and history and it has an important
    meaning as the examples of the demonstrated spontaneous patriotism of women.
    Accordingly, practice of feasible policy of reward and welfare for the women of
    the national merit is necessary. Through additional finding of historical records,
    extension of selection of objects of reward and securing local experts, the direction
    that can make their devotion to the country highlighted as the example of the
    practice of the country-gender-patriotism should be sought. In the future, the
    Korean women's independence movement should be highlighted as an important
    sector of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the example of the
    spontaneous practice of the loving-country sprit of wome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는 과제를 작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완벽하게 충족시켜주었습니다. 덕분에 과제 제출 기한을 맞출 수 있어 정말 감사했습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보훈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7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