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도산서당(陶山書堂)의 입지(立地)와 도산서원(陶山書院)의 배치(配置)에 대한 고찰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8.12
41P 미리보기
도산서당(陶山書堂)의 입지(立地)와 도산서원(陶山書院)의 배치(配置)에 대한 고찰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3권
    · 저자명 : 김연호

    목차

    Ⅰ. 머리말
    Ⅱ. 도산서당의 입지와 도산서원의 배치에 대한 고찰
    Ⅲ. 맺음말
    참고문헌

    초록

    퇴계는 일평생 수차례에 걸쳐 삶 터를 직접 택지(擇地)하여 이
    거(移居)하면서 생활하였는데, 이거의 이유는 자신에게 보다 적합
    한 자리를 구하기 위함이었다. 퇴계가 마지막으로 복거(卜居)하고
    대단히 흡족해 하면서 그의 말년을 보낸 곳이 바로 도산서당이다.
    따라서 도산서당의 입지를 고찰해 보는 것은 퇴계의 사유의 일면
    을 엿볼 수 있기에 의미가 있다고 본다.
    본고에서는 도산서당의 영건(營建)과정과 그 이전의 복거(卜居)
    를 개략적으로 살펴보았으며, 그리고 도산서당의 입지(立地)를 이
    중환이 『택리지』에서 제시하고 있는 복거의 요건과 비교 고찰하
    였고, 도산서당을 포함한 도산서원의 배치에 대하여 최초의 서원
    인 소수서원의 배치와 더불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도산서당의 영건과정은 금난수의 도산서당영건기사(陶山書堂營
    建記事) , 퇴계의 도산잡영병기(陶山雜詠幷記) 그리고 권오봉의
    퇴계가년표(退溪家年表) 에 잘 나타나 있다. 도산서당의 터는 문
    하(門下)인 금응훈 등의 의하여 수차례에 걸친 건의를 받아서 퇴
    계가 현장을 직접 살펴보고 복거한 곳으로 퇴계는 이 터를 구한
    것에 대하여 매우 흡족해 하였다. 그리고 옥사도자(屋舍圖子)라는
    건축 설계 도면과 더불어 여러 경로를 통하여 건물의 배치와 구조
    에 대해 적극적으로 관여하면서 영건과정에 지속적으로 깊은 관심
    과 애정을 나타내었다.
    도산서당의 입지는 도산잡영병기 에 나타 있는 내용을 이중환
    이 『택리지(擇里志)』에서 제시하고 있는 복거의 요건과 비교하
    여 살펴보았는데, 도산서당의 입지가 이중환이 복거의 요건으로
    강조하고 있는 지리(地理)의 요건에 매우 부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산서원은 도산서당이 먼저 입지한 후에 퇴계 사후에 건립되었
    고, 강학(講學) 기능을 중시한 퇴계의 평소 뜻을 받든 강당 중심의
    양택(陽宅)중심 서원이며, 반면에 소수서원은 안향(安珦)을 제향
    (祭享)하기 위하여 문성공묘(文成公廟)를 먼저 건립하고 이후에 강
    학 기능을 부가한 사묘(祠廟) 중심의 음택(陰宅)중심 서원이기에
    배치에 있어 상반된 특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즉, 강학 중심의 도
    산서원은 퇴계의 상징적 공간인 도산서당을 기준으로 하고 각각의
    건물들은 좌상우하(左上右下)의 원칙과 고상저하(高上底下)의 원칙
    에 맞추어 배치를 하였고, 제향중심의 소수서원은 문성공묘를 기
    준으로 하고 모든 건물들이 우상좌하(右上左下), 전상후하(前上後
    下)의 배치 원리에 따라 위치하고 있다. 서원은 제향(祭享) 기능을
    중시한 사당(祠堂) 중심의 음택 중심 서원과 강학기능을 중시한 강
    당(講堂) 중심의 양택 중심 서원으로 구분할 수 있고, 이러한 기능
    의 차이는 배치에 있어서 분명한 특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Before the site of Dosan Seodang is selected, Toegye himself selected
    his living places several times, and lived there. This means that he had a
    intention to select more proper site to live in.
    The course of constructing Dosan Seodang is shown well in
    Dosanseodangyeonggeongisa by Geum Nan-Su, Dosanjabyeong byeonggi
    by Toegye, Toegyeganyeonpyo by Kwon O-Bong. The site of Dosan
    Seodang was selected by Toegye himself, after he himself went to the site
    several times at the request of his disciples including Geum Eung-Hun. He
    was much contented with getting the site. And through the several
    channels including the design drawing like Oksadoja, he was involved
    actively in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the building. He was much
    concerned in the constructing process.
    The location of Dosan Seodang described in Dosanjabyeong byeonggi is
    compared with the requirements for selecting site of Lee Jung-Hwan. It is
    found out that the location of Dosan Seodang corresponds much with the
    requirements for selecting site.
    The arrangement of Dosan Seowon including Dosan Seodang is
    examined with the arrangement of Sosu Seowon. Dosan Seodang is
    located, and then Dosan Seowon is constructed after Toegye's death.
    Dosan Seowon is a Yangtaek(陽宅) building with priority given to a
    lecture hall honoring the Toegye's will to assert studies on books. On the
    other hand, Sosu Seowon is an Eumtaek(陰宅) building with a priority
    given to Samyo(祠廟) in which the studying function is added after
    Munsungongmyo(文成公廟) is built to have a memorial service for An
    Hyang. The two Seowons have a contrary characteristic in their
    arrangements. In other words, Dosan Seowon sets the Dosan Seodang, a
    symbolic place of Toegye as a standard place, and then each buildings are
    arranged in the principle of left-high ? right-low and heigh place-high
    ? low place-low. On the contrary, Sosu Sewon focused on the memorial
    service, and then every buildings in Sosu Sewon show an arrangement of
    right-high ? left-low and front-high ? rear-low of the Munsungongmyo
    placed in the center. It is found out that Seowon can be classified into an
    Eumtaek one with a priority given to Sadang(祠堂) which stresses the
    function of memorial service and a Yangtaek one with a priority given to
    a lecture hall which stresses the function of studying the books, and also
    the difference of their function has an evident characteristic.
    The whole arrangement of Dosan Seowon including Dosan Seodang
    shows a Jangpunguk(藏風局) arrangement in which other buildings enfold
    Dosan Seodang which is Yangtaek and the nucleus owing to the
    symbolicity of Toegye. And the arrangement of Sosu Seowon shows the
    enfolding of other buildings for the Munsunggong's tomb, placed in the
    center, by making them have a role of Jangpung and Jwacheongnyong(左
    靑龍).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좋은 자료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