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艮齋 李德弘의 『四書質疑』 硏究 -異本 檢討와 『論語』 解釋을 中心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8.06
39P 미리보기
艮齋 李德弘의 『四書質疑』 硏究 -異本 檢討와 『論語』 解釋을 中心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1권
    · 저자명 : 全在東

    목차

    Ⅰ. 緖論
    Ⅱ. 『四書質疑』의 編纂과 異本 檢討
    Ⅲ. 『四書質疑-論語』의 解釋 樣相과 特徵
    Ⅳ. 結論
    참고문헌

    초록

    李德弘(1541~1596)은 『四書質疑』, 『周易質疑』, 『心經質疑』, 『
    古文質疑』(前ㆍ後集), 『家禮註解』, 『朱子書節要講錄』(上ㆍ下) 등의
    다양한 저술을 남긴 학자이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은 시도된 적이 없었다. 본고에서는 李德弘의
    저술 가운데 『四書質疑』를 분석하여, 『四書質疑』의 異本을 검토
    하고 李德弘의 경전 해석 태도 등을 고찰하고자 한다.
    『四書質疑』는 『艮齋續集』에 수록된 것이 가장 많이 알려져 있
    으며, 『韓國經學資料集成』에도 이 판본을 수용했다. 그러나 필자
    가 조사한 바에 따르면, 국립중앙도서관과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단행본으로 된 『四書質疑』가 남아 있은 것이 확인되었다. 수록
    내용의 同異와 詳略을 검토해 본 결과, 규장각본 『四書質疑』가
    비교적 원형에 가까우며 續集本은 후대 누군가의 손을 거쳐 재
    편됨 것임을 알 수 있었다.
    『四書質疑』는 「論語質疑」-「孟子質疑」-「中庸質疑」-「大學質疑」
    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論語質疑」는 전체 분량의
    3/4을 차지한다. 따라서 「論語質疑」의 분석을 통해 이덕홍의 경
    서 해석 양상을 1) 小註에 대한 관심과 集註의 보완, 2) 集註에
    根據한 退溪說의 繼承, 3) 名物에 대한 該博한 考證등 세 가지
    로 분류할 수 있었다.
    李德弘의 경서 해석은 스승인 退溪와 당대에 이미 상당한 권
    위를 지녔던 朱子의 설을 온전히 계승하려는 경향이 강했다. 그
    러나 『論語集註大全』을 정밀하게 검토하여 퇴계와 주자의 미진
    한 해설을 보충하려 했으며, 名物 制度의 고증에서는 나름대로의
    해석을 가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aSeoGilY'e (四書質疑) by
    lee-duck hong. This study used the following materials as objects of
    analysis : Therefore, this report suggests a solution for the problem by
    grasping the volumes of the Korean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論語』), by summarizing them and by introducing the outline of
    them.
    the contents of the Korean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should be discussed. In this dissertation, the works are limited from the
    middle 16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which originated the Korean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as it is not possible to examine all
    those 310 kinds of the Korean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Then, the text for the Korean Annotation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was
    based on NonEoJipJuDaeJun (『論語集註大全』) and annotated versions
    published are NonEoSukY'e (『論語釋義』) by Lee Hyaung, NonEoGilY'e (『
    論語質疑』) by Lee Duk Hong.
    Those annotated book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adhere to
    NonEoJipJu(『論語集註』) by Chu Hsi. At that time, They are to put an
    importance on scholia what Chu Hsi is to focus on scholia interpretation.
    However, they are different from the middle 17th century's interpretators
    in that they have their own creativity and diversity when they translate
    the Analects [Discourses] of Confucius.
    The chapter two explored the background of appearance of the
    commentary on the Analects on Confucius and its actual circumstance of
    compilation in the middle Joseon period. The following two elements acted
    on as the background of emergence of the commentary: (1) the problem of
    propriety in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s language; and (2) the influx of
    Daejeonbon (大全本) and the demand of references. The investigation of
    the real condition in compilation of the commentary was proceeded in two
    aspects: (1) the present state of compiled materials; and (2) the character
    and characteristics of major material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주제가 흥미롭고, 내용이 충실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