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李退溪와 王陽明의 聖賢像 및 成聖觀의 比較 韓國의 儒學名著 『聖學十圖』를 中心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5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2.01
50P 미리보기
李退溪와 王陽明의 聖賢像 및 成聖觀의 比較 韓國의 儒學名著 『聖學十圖』를 中心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퇴계학논집 / 10권
    · 저자명 : 錢明

    목차

    1. 退溪와 陽明의 聖賢像
    2. 退溪와 陽明의 成聖觀
    3. 간략한 결론

    초록

    양명의 『전습록(傳習錄)』에서 묘사된 성성관(成聖觀)이거나, 퇴계의
    『성학십도』에서 묘사된 성성관이건 간에, 그 중심 문제는 모두 인간
    의 성인됨의 문제이다. 즉 어떻게 사람이 성인이 되는가 하는 문제이다.
    그들이 관심을 가졌던 것은 ‘성인지상(聖人之像)’이 아니라 ‘성인지학(聖
    人之學)’(간략히 ‘聖學’으로 칭함)이었던 것이며, 그것은 성인됨의 방법,
    경로 및 수단이었다. 이는 퇴계 성성관과 양명의 성성관의 공통점이라
    고 할 수 있다.
    두 사람의 다른 점은 퇴계의 성인됨의 방법과 경로와 수단은 복잡하
    고 번잡한 과정을 거침으로써 학술 사상 영역에 속하는 덕성(德性)ㆍ지
    식(知識)을 지니는 엘리트적 성성관이었고, 양명의 성인됨의 방법과 경
    로와 수단은 간이(簡易)하고 순간적이며 덕성실천(德性實踐)의 영역에
    속하는 서민적 성성관이었다. 퇴계의 가장 주요한 임무는 엘리트 인사
    들의 도덕적 자각을 개발한다는 전제 하에 정치가를 교육시켜 성인이
    되게 하는 것이었고, 양명의 가장 주요한 임무는 일반 민중의 도덕적
    자각을 개발한다는 전제 하에 보통사람을 교화하여 성인이 되게 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두 사람이 경세와 치세의 서로 다른 시대적 과제에
    직면하여 결정한 서로 다른 선택이었다.
    요컨대 퇴계가 강조한 것은 성인의 학문이었고, 양명이 강조한 것은
    성인의 뜻이었다. 실천론과 양지(良知)의 자각을 중시한 양명과 달리 퇴
    계의 『성학십도』는 유가의 지식론과 도덕론, 실천론의 완전한 통일이
    었다. 나아가 양명의 성성관은 인학(仁學)ㆍ심지학(心志學)으로 즉시성
    과 실재성을 갖고 있어 서민화된 유가의 성인지학(聖人之學)이었다. 만
    약 정치학적 의의로 본다면 양명의 성인관은 덕성실천의 평등의 성인관
    이었고, 퇴계의 성인관은 덕성ㆍ지식의 엘리트적인 성인관이었다.

    영어초록

    Whether it is the view of sage becoming described in Yang‐ming(陽
    明)'s 『Chuanxilu(傳習錄)』or that in Toegye's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聖學十圖)』, the central matter is the problem of how to be a
    sage, how a man can be a sage. What matters for them was not the
    image of sage but the sage learning that are the method, passage and
    means to be a sage. This is what is common in the view of sage
    becoming of both Toegye and Yang‐ming.
    Following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m. As for Toegye, it is elitelike
    view of sage becoming that the method, passage and means to be
    a sage is complicated and intricate to bear morality and knowledge,
    while for Yang‐ming, it is common view of sage becoming that
    belongs to the realm of moral practice with the simple and temporal
    method, passage and means to be a sage. The most important mission
    of Toegye was to educate politicians to make sage on the premise of
    developing the moral awareness of elite figures. On the other hand, that
    of Yang‐ming was to enlighten common people to make sage on the
    premise of developing the moral awareness of general public. This was
    different selection two persons decided facing different tasks of the age,
    that are administration and reign.
    In conclusion, Toegye emphasized the study of sage and Yangming,
    the will of sage. Contrary to Yang‐ming who attached
    importance to the theory of practice and the awareness of Liangzhi(良
    知), Toegye's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was the complete unity of
    Confucian theory of knowledge, theory of morality and theory of
    practice. Furthermore, Yang‐ming's view of sage becoming was
    Renxue(仁學) and Xinzhixue(心志學) having instancy and reality that
    was Confucian sage learning being commonized. From the political
    standpoint, Yang‐ming's view of sage was that of equality with moral
    practice and Toegye's view of sage was elite‐like view of sage with
    moral knowledg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정보가 풍부하고, 내용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과제를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퇴계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2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