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캠퍼스북
  •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바깥에서 보는 퇴계의 하늘섬김사상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5
최종 저작일
2012.01
26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5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영남퇴계학연구원 수록지정보 : 퇴계학논집 / 10권
저자명 : 조성환

목차

1. 문제의 발단
2. 퇴계에서의 ‘경천’과 ‘상제’
3. 조선의 통치원리 - 경치(敬治)
4. 퇴계의 ‘효천설’(孝天說)
5. 퇴계에서의 경천사상과 리기론
6. 퇴계학과 주자학의 차이
- 장재의 「서명」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7. 두 개의 천관(天觀) - 天과 하
8. 동방의 하 전통
9. 퇴계 이후의 경천사상
10. 한국사상사를 보는 또 다른 ‘눈’

한국어 초록

이 글은 퇴계의 ‘경천사상’을 한국사상사라는 지평에서 이해해보고
자 하는 시도이다. 기존에 퇴계의 ‘천’ 개념을 다룬 논문들은 퇴계에서
출발하여 다산에 이르는 이른바 ‘퇴계학파’라는 틀 안에서 논의를 진행
하였다. 이것은 어디까지나 ‘유학’이라는 틀에 한정시켜서 퇴계의 ‘천사
상’을 이해하고자 하는 방법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사상사적 관점
에서 보면 퇴계의 ‘경천사상’은 갑자기 시작된 것도 아니고, 다산에서
자취를 완전히 감췄다고 보기도 어렵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유학이나 학파라는 틀을 벗어나서, 퇴계 이전
의 조선초기사상에서 퇴계 이후의 동학에 이르기까지 조선사상사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퇴계의 ‘천사상’을 이해하고자 한다. 나아가서 그러
한 사상이 과거로부터 한반도에 전해 내려오는 ‘경천사상’의 연장선상에
서 이해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저자가 이러한 방법론을 취한 이유는
주자학과 퇴계학의 차이, 나아가서 중국사상과 한국사상의 차이를 드러
내기 위해서이다.
구체적으로는 한국사상사에서 내려오는 경천사상의 흐름을 ‘천학’(天
學)이라는 범주로 규정하고, 퇴계의 ‘리학’과 주자학의 ‘리학’과의 차이
를 ‘천학’이라는 관점에서 고찰한다. 특히 주자와 퇴계의 「서명」 해석에
나오는 ‘사천’ 개념을 분석하면서, 주자의 ‘천’ 개념이 ‘천리’(=질서)나
‘천지’(=자연)의 의미를 함축하고 있는 반면에, 퇴계의 ‘천’ 개념은 종교
적이고 초월적인 섬김의 대상으로서의 ‘하늘’을 의미하고 있음을 보이고
자 한다.
또한 퇴계의 ‘리학’ 속에 보이는 ‘천학’의 특징을 ‘효천(孝天)사상’으로
규정하고, 그것이 퇴계의 리기론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퇴
계에서는 ‘천=리=상제’라는 등식이 성립하고, 나아가서 ‘리’는 일종의
‘신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퇴계의 ‘리자도설’은 아마도 퇴계에서 보이는
이러한 리관, 즉 “천=상제=신으로서의 리”라는 생각에 기인한 것으로
추측된다.
마지막으로 퇴계의 천관의 뿌리가 멀리는 단군신화에 나오는 천관(天
觀)과 맞닿아있고, 가까이는 동학의 경천사상에까지 이어져있다고 보고,
이러한 흐름을 중국사상이나 일본사상과는 다른 한국사상 내지는 한국
유학의 특징으로 보았다. 왜냐하면 중국사상에서의 ‘천’은 종교적이기보
다는 정치적이고 도덕적인 특징이 더 강하고, 일본사상에서는 ‘천’ 대신
에 ‘카미’(神)가 종교적인 숭배의 대상이 되기 때문이다.
확실히 퇴계에서의 ‘경사상’과 ‘사천사상’은 일단은 주자에게서 연원
한다고 할 수 있다. 주자학에서의 ‘천’ 개념은 어디까지나 중심이 ‘리’쪽
에 놓여있고, 퇴계에서의 ‘천’개념은 ‘하늘’의 요소를 여전히 버리지 않
고 있다. 이것은 ‘경’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주자학에서의 ‘경’이 ‘주
일무적’이라는 마음의 집중에 중점이 놓여있다고 한다면, 퇴계에서의
‘경’은 그것과 더불어 ‘천’을 섬기는 종교적인 태도 또한 강하게 보이
고 있다. 바로 이러한 미세한 차이를 놓치게 되면 우리는 ‘동학’의 탄생
을 설명할 길이 없게 된다. 즉 이러한 사소하게 보이는 차이야말로 훗
날 동학을 낳는 잠재적인 사상적 원동력인 것이다.

영어 초록

The theme of this essay is the thought of reverence towards
Heaven by Toegye. Existing almost all researches have dealt
with this theme within the Toegye school from Toegye to Dasan.
This is a method which explains Toegye's concept of Heaven
only in the Confucianism context. However, when we approach it
from the point of the history of thought, it is wonder what has
influenced Toegye's thought of tien and how it has been succeed
after Dasan.
This research approaches the theme from the more broad
viewpoint of the history of Chosun ranging from the early period
of Chosun Dynasty to Eastern Learning(Tonghak). And I estimate
the thought of reverence towards Heaven by Toegye resonates
with that of Korean thought before Toegye. The reason why I
take this method is that I hope it will show a difference between
the thought of Chinese and that of Korea as well as between
Chushi Learning and Toegye Learning.
To be specific, I coined the category of 'Heaven Learning'(天
學) to describe the strong tendency of reverence towards Heaven
in the history of Korean thought which seems to me one of the
defining character of Korean history, and I believe this category
will expla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thought of Chushi and
Toegye. I analyzed the same concept of 'serving Heaven'(事天)
in the interpretaions of Western Inscription by Chushi and
Toegye respectively, and this reveals that the concept of tien in
Chushi's 'serving Heaven' mainly means 'the principle of tien' or
'Heaven and Earth' whereas that of Toegye 'Hanul' as a religious
and transcendental entity.
Morever, Toegye maintains that Confucian King have to revere
Heaven like parents, which I call 'the thought of filial piety for
Heaven'(孝天思想). It affects the concept of Li(理) in Toegye',
and, as a result Heaven, Li and Lord on High are regarded as
the same entity and Li is considered as a spiritual entity(神).
This tendency can be traced back to the Myth of Dangun(檀君神
話) or a story of Korea's legendary founder, and has been fully
realized as a Eastern Learning(東學) in 19C. I think this tendency is
distinct from Chinese or Japanese thought in that Chinese Heaven is
mainly political and ethical rather than religious and Japanese
thought emphasizes on Kami(かみ) rather than Heaven.
Certainly, the thought of 'reverence'(敬) and 'serving Heaven'
(事天) can be said to be originated from Chushi. However,
Heaven of Chushi is mainly focused on Li whereas that of
Toegye on Hanul as well as Li. Similarly, the connotation of
'reverence' in Chushi and Toegye subtly differs in that Chushi
emphasizes concentration of mind whereas Toegye emphasizes
revering Heaven as well. I think this slight difference explains
the birth of Eastern Learning in Korea. The more emphasis on
serving Heaven in Toegye's thought was a potential cause of the
advent of indigenous Eastern Learning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바깥에서 보는 퇴계의 하늘섬김사상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