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命題를 아는 것과 教育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1983.01
15P 미리보기
命題를 아는 것과 教育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학연구 / 21권 / 2호
    · 저자명 : 金起民

    목차

    Ⅰ. 序論
    2. 命題를 아는 것과 方法을 아는 것
    3. 命題를 아는 것과 教育(Ⅰ)
    4. 命題를 아는 것과 教育(Ⅱ)
    5. 結論
    參考文獻
    〈Abstract〉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the meaning of ‘knowing that’ and its implications in the context of education, focusing on the evidence condition of knowledge.
    Even though ‘knowing that’ is logically distinct from ‘knowing how to do’, there is some connection between the two, The ability of suggesting adequate evidence to the challenging question, such as ‘How do you know?’, is one of the logically necessary conditions of ‘knowing that’, referred to as the ‘evidence condition’, This ability may be regarded as a kind of ‘knowing how to do,’ since ‘knowing how to do’ covers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domains.
    We teach knowledge to pupils so that they become capable of thinking by way of modes of knowledge they have been taught, they learn to think historically, for example. Thinking historically consists of knowing how to use historical facts, as well as knowing about historical facts. Therefore, thinking historically involves two kinds of ability, one to apply already-known facts to theoretical or practical situation, and the other to support historical facts by giving adequate explanation. To give adequate explanation presupposes, to some extent, awareness of the logical characteristics of modes of knowledge.
    From the educational point of view, ‘knowing that’ in pupils is said to grow in three senses. In the quantitative sense, pupils learn to know propositions which they didn’t know; in the qualitative sense, they learn to know a certain proposition more deeply by acquiring more adequate evidence than before, and in the potential sense, pupils are more inclined to examine their knowledge critically against experience, because of the realization of their ignorance in the course of knowing.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the two cases in which ‘knowing that’ without evidence condition is said to occur. ‘Knowing that’ which cannot have evidence condition such as ‘knowing that 2+2=4’ ‘knowing that the sky is blue’, This kind of ‘knowing that’ serves as the basis of assessing the truth or falsehood of other propositions which fall to the same modes of knowledge. The other is ‘knowing that’ which lacks adequate evidence when the knowledge can and should he supported by evidence. Of course, this kind of ‘knowing that is incomplete from the philosophical point of view, but it may be worth considering in the educational context, This kind of ‘knowing that’ is inevitable to a certain extent, partly due to the limitations of pupils’ intellectual ability and partly due to the pressure of social conven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