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질베르 뒤랑의 상상계를 바탕으로 한 연극치료의 상징분석과 진단적 가능성 모색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2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2.01
32P 미리보기
질베르 뒤랑의 상상계를 바탕으로 한 연극치료의 상징분석과 진단적 가능성 모색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연극예술치료학회
    · 수록지 정보 : 연극예술치료연구 / 2권
    · 저자명 : 조희진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초록

    이 논문은 질베르 뒤랑(Gilbert Durand)의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을
    연극치료 작업에서 이미지와 상징의 흐름과 구조 파악의 분석틀로 사용하
    여 보고, 그것이 연극치료에서 진단적으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논의하
    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극치료 작업에서 참여자가 표현한 다양한 이미지들은 그의 내면세계
    를 보여주는 중요한 상징적 정보이기 때문에 이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은
    참여자에 대한 진단과 연극치료 작업의 방향 설정 및 치료사의 개입에 매
    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질베르 뒤랑의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
    들을 이용하여 연극치료 실제 작업에서 참여자가 표현한 이미지를 분석하
    고 그 흐름과 구조를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은 2010년 3월 9일부터 6월 2일
    까지 진행된 총 9회기의 연극치료 작업에 참여한 연구자 본인이다. 작업 전
    체를 하나의 큰 흐름으로 볼 때 프로그램이 대상의 내면에 대립되는 이미
    지들을 통합하고 성장시키는 종합적 구조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구체적인
    상상계의 구조가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을 통해 환자는 상상계의 어느 한 영역에 고착되어 있거나 왜곡된
    이미지를 보여줄 가능성이 많은 반면, 건강한 사람은 때에 따라 다양한 상
    상의 영역을 오가며 이를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결
    과 뒤랑의 상상계의 인류학적 구조들이 연극치료 작업에서 참여자를 진단
    하고 개입할 수 있는 세부적인 정보와 작업의 목표 및 방향성을 제시해주
    는 큰 구조적 틀을 제공하는 중요한 체계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세 가지 의의를 가진다. 첫째, 기존 심리학 이론의 선형적이고
    유형화된 틀을 벗어나 인간 존재를 온전히 이해할 수 있는 의미론적 맥락
    의 진단 근거를 제시하였다. 둘째, 역동성과 다의성으로 인해 논리적인 학
    문영역에서 배척당하고 문학이론으로 치부되어온 상상계의 방법론이 실제
    인간 심리를 다루는 치료 영역에서도 그 의미가 있음을 증명하였다. 셋째,
    질베르 뒤랑의 상상계의 구조들을 통한 연극치료 작업 분석 결과, 연극 활
    동에서 상상계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과정이 심리치료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aim of this study is to utilize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created by Gilbert Durand as an analysis frame of the image and
    symbolic representation and then, to examine its feasibility how it could be
    utilized in the drama therapy process.
    Due to the fact that an accurate understanding on various images
    expressed by a participant is crucially symbolic information to show the
    participant’s inner side, it is an essential point for a participant’s diagnosis, a
    design of the drama therapy and therapist treatments in the drama therapy.
    This study thus is to analyse participant’s images and to figure out its flow
    and frame in the actual work via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An object of this study is a researcher’s own who participated 9 times drama
    therapy from March 9th to June 2nd in 2010.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a detail imaginary structure was
    progressed in the working process. In overall process, it can be shown that
    this study made conflicting images proceed into a synthétique construction to
    integrate and develop them.
    Throughout the analysis, it can be known that a patient tend to set in an
    area of the imaginary and show distorted images, while a sound person is able
    to freely explore over the imaginary and suitably express it. As previously
    mentioned above, it can be concluded that Les structures anthropologiques de
    l'imaginaire created by Gilbert Durand is able to be a systematic approaches
    to precisely diagnose participants and come up with a frame of detail
    information and an accurate working aim to a therapist in a drama therap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ncludes:
    1) To come up with the sematic context basis to precisely understand
    human beings beyond the linear and stereotypic territory of previous
    psychological theories
    2) To offer proof that a methodology of the imaginary, that is only keeping
    alive within a literary theory apart from the logical academy areas due to its
    being polysemy and dynamic, could be applicable as a treatment in the
    psychological area.
    3)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highly imaginary usage process in a
    drama activity based on a result from a drama therapy via the Gilbert
    Durand’s imaginary structures systematic and logical.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를 통해 새로운 인사이트와 지식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내용이 풍성하여 과제 작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계속해서 좋은 자료를 기대합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연극예술치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