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 禪佛敎의 心性이해와 마음공부론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12.06
20P 미리보기
조선 禪佛敎의 心性이해와 마음공부론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학연구 / 50권 / 2호
    · 저자명 : 정혜정

    목차

    I. 서론
    II. 득통 기화의 마음이해
    III. 득통 기화의 마음공부론
    IV. 결론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득통 기화를 중심으로 그의 삼교합일적 심성론 이해와 마음 공부론을 고찰하고자 한 것
    이다. 조선 선불교적 전통에서 추구하여 온 인간 완성과 교육의 과제가 무엇이었는지를 파악하여 마음의 평정과 지혜를 갖추는 공부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득통 기화는 자신의 스승이었던 무학대사와는 달리 저술을 많이 남겼던 인물이자 유불도 삼교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이론화한 사람이다. 그는 유 불도의 근본 가르침을 각각 대본(大本), 진공(眞空), 곡신(谷神)이라 말했다. 그리고 불가를 뿌리, 도가를 싹, 유가를 잎에 비유했다. 이러한 삼교관에 따른 득통의 마음공부론은 마음을 고요하고 밝게 비추는 정혜(定慧) 공부, 덕행의 교화와 심복(心服), 그리고 만물일기(萬物一己)의 실천으로 집약된다. 여기에는 유가 현실주의와 이에 따른 교화와 덕행의 공부방법이 가미된 것으로 유가의 영향이 크다. 유가는 불교가 도덕적 관심을 갖지 않는다는 것과 통치규범이 부재하다는 것을 비판해 왔고 득통은 이에 부응하여 마음공부에 덕행의 실천을 이끌어내었다. 그러나 유가의 실천이 삼강오륜의 인간관계를 중심한 덕목이라면 득통이 새롭게 강조한 덕행은 우주중심적․만물중심적 도덕으로서 진정한 인(仁)은 ‘만물을 자기와 한 몸으로 여기는 것’에 있음을 강조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thought of Deuktong-Gihwa around the idea of combination of
    three religions and mind-nature theory. And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mind practice theory in
    the Buddhist tradition of South Korea it is inquired the theory of pursuit the human perfection and
    the whole task of education. Deuktong-Gihwa is Buddhist monk Muhak’s disciple. He left a lot of writing and theorized the relationship of three religions(Confucianism, Taoism, Buddhism)
    systematically. He said that the taught of three religions were each of principles of life(大本), sunya (空), Goksin(谷神). Deuktong likened three religions as Roots, shoots, leaves each. The theory of mind practice is to still mind and brightly illuminate the mind.(This is named Samadhi and Panna study)Also Deuktong-Gihwa is author of the book “Hyunjunglon(顯正論)”. In this book he said that the mean of Cheonsim(天心) in Confucianism is same the mind of Buddhism. He combined three kinds of religion. And he emphasized the mind practice to deliver and to keep the mind. Especially the mind practice of the mind to keep is not bound to the object in mind or remove the object in mind but only resign one’s original mind and concentrate on or keeps the original mind. To keep the original mind is to illuminate the world by bright wisdom and conduct to the others by right min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8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