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재가노인 사례관리의 욕구사정 정확도 향상을 위한 욕구추출 알고리즘 개발 : 데이터 마이닝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2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8.02
23P 미리보기
재가노인 사례관리의 욕구사정 정확도 향상을 위한 욕구추출 알고리즘 개발 : 데이터 마이닝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60권 / 1호
    · 저자명 : 김영숙, 정국인, 박소라

    목차

    1. 서 론
    2. 선행연구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자들은 재가노인의 사례관리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요소가 되는 욕구 중심의 통합적 사정
    을 위한 28개의 욕구가 포함된 사정도구를 개발하였으며, 그 후속 연구로 개발된 욕구사정도구를 활
    용해 전국 노인복지관 협회 산하 120개 기관의 재가 노인 676명의 사정 데이터를 수집하고 데이터
    마이닝의 의사결정 나무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욕구에 적합한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욕구추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재가노인의 욕구 28개에 대한 욕구추출 알고리즘은 <표3>에 요약하였다. 욕구 8번
    「외출 시 도움을 원한다.」의 의사결정모형을 예로 들면, 호소 23번을 주요 변인으로 외부이동 도움
    을 요청할 경우 80.3%와 요청하지 않을 경우 11.4%로 구분되었다. 이용자가 외부 이동에 대한 호소
    가 있고, 수발자가 있는 경우 87.9%로 욕구가 증가하였지만, 수발자가 없는 이용자의 경우 47.4%로
    감소하였다. 노인이 외부이동 지원에 대한 요청과 수발자가 있으며, 청소하기의 완전도움이 필요한 경우, 외부이동 도움에 대한 욕구는 94.2%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용자가 외부이동의 도움을 요청하지 않더라도, ADL의 목욕하기에 완전도움으로 응답한 경우 외출도움의 욕구는 11.4%에서 80.0%로 급격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ADL 목욕하기의 기능이 부분도움 또는 완전자립의 경우 외출도움이 필요하다고 분류될 가능성은 7.7%로 낮게 나타났다. 위와 같은 의사결정모형은 최대 나무 깊이는 5수준을 정지규칙으로 하여, 부모마디와 자식마디의 사례 수를 각각 50과 25로 지정하였다. 이를 통해「외출 시 도움을 원한다」라는 욕구의 경우 182.13%의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한 알고리즘은 재가노인의 욕구를 추출함에 있어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authors developed 28 needs assessment tools for integrated assessment
    centered on needs, which is the core element in care management for the elderly
    in home. Also, the authors collected the assessment data of 676 elderly persons
    in home from 120 centers under the Korea Association of Senior Welfare Centers
    by using the needs assessment tools, and finally developed needs extraction
    algorithm through decision tree analysis in data mining to identify their actual
    needs and provide social welfare service suitable for such needs.
    The needs extraction algorithm for 28 needs of the elderly in home are
    summarized in <Table 3>. The Need No. 8 「Having need of help in going out」
    of the decision-making model, for example, was divided into 80.3% of asking for
    help and 11.4% not asking for help with Appeal No. 23 as a major variable. The
    need increased by 87.9% when the elderly appealed for help to go out and they
    had a caregiver but decreased by 47.4% when they had no caregiver. When the
    elderly asked for help in going out, they had a caregiver, and they needed
    complete help in cleaning, their need of help in going out was shown as 94.2%.
    However, seen from their answer that they needed complete help in bathing of
    ADL even if they did not ask for help in going out, it was found that the need
    of help in going out sharply increased from 11.4% to 80.0%. On the other hand,
    when they needed partial help or self-supported in bathing, the potential for
    them to be classified as asking for help in going out was shown to be low as
    7.7%. In the said decision-making model, the number of cases for parent node
    and child node was designated as 50 and 25, respectively, with level 5 of the maximum tree depth as stopping rule. By this, it was shown that their
    decision-making was found to be effective as 182.13% for the need「Having need
    of help in going out」.
    The algorithm presented in this study can be useful as systematic and
    scientific fundamental data in assessment of needs of the elderly in home.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6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