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유층의 기부과정에 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4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7.05
34P 미리보기
부유층의 기부과정에 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학 / 59권 / 2호
    · 저자명 : 강철희, 김미옥

    목차

    1. 서 론
    2. 문헌고찰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분석
    5.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초록

    이 연구는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부유층의 기부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자
    산규모 10억 이상의 부유층 중 사회복지관련 비영리조직에 지난 5년 동안 지속적으로 매년 1,000만
    원 이상을 기부해 온 연구참여자 11명을 선정하여 심층 인터뷰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부유층의 기부
    과정에 대해 총 161개의 개념이 나타났고, 이를 33개의 하위범주, 14개의 상위범주로 유목화 할 수
    있었다. 부유층의 기부과정에 관한 패러다임모형에서는 ‘기억과 관찰을 통해 배우고’ ‘내 도리(道理)를 자각하며’ ‘마음이 동(動)하는’ 인과적 조건을 통해, ‘누린 자로서의 나눔을 실천하는’ 중심현상이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중심현상의 맥락적 조건은 ‘사람들의 평가를 의식함’, ‘제한된 기부정보를 가짐’, ‘기부환경을 불신함’ 등이었으며, ‘관계의 활용’ 및 ‘적극성의 배가(倍加)’로 구성되는 작용/상호작용 전략의 중재조건으로는 ’내외적 지지받음‘과 ’신념에 의해 추동(推動)됨‘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로서 부유층은 기부를 통해 진정한 부자가 된 것 같은 감정을 갖으며, 기부가 삶의 일부이고, 더 나은 미래를 희망하는 결과를 경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부유층 기부과정의 핵심범주는 ‘누린 것을 나누는 관대한(generous) 나눔’이었으며, 이는 부유층의 기부가 이타적이라기보다는 도덕적 자기이익 추구 방향에서의 관대함 실천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과정분석에서는 부유층이 기부를 시작하는 들어섬 단계에서 일상적 행함의 단계를 거쳐, 기부가 점진적으로 확대되는 순환적 진화단계를 통해 결국 체화의 단계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과정에서 부유층의 기부유형은 적극적 몰입형, 생활내재형, 주변학습형, 감정적동조형 등으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부유층의 기부과정을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심층적 이해를 구축하면서 그 과정 및 유형, 상황모형 등을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부유층 기부에 관한 이론구축 및 고액모금전략개발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develop a theory on the evolving process of wealthy
    major donors' sharing lives in Korea through a grounded theory approach. To
    conduct this study, the researchers have in-depth interviews with 11 exemplary
    wealthy major donors who have more than one million US dollars in his or her
    own asset and donate more than ten thousand US dollars annually. In data
    analysis, this study identifies 161 concepts on the evolving process of wealthy
    major donors' sharing lives; and the concepts are categorized with 33
    sub-categories and 14 categories. In the paradigm model on the evolving process
    of wealthy major donors' sharing lives, it is identified that the central
    phenomenon, 'practicing sharing lives as noblesse oblige', is related with the
    causal conditions such as 'learning through memories and observation', 'realizing
    my duties’, and ‘emphasizing’; and the central phenomenon is related with the
    contingent conditions such as ‘being sensitive to external evaluation’, ‘having
    limited information on giving’, ‘distrusting donation related environments'. The
    action/interactional sequences such as ‘utilizing relationships’ and ‘strengthening
    active participation' are accomplished by moderating conditions such as ’having
    internal and external supports‘ and ’guiding by firm conviction‘. It reveals that as
    a result, wealthy major donors enjoy the feeling of becoming a ideal and true
    wealthy person, establish sharing lives as firm and major parts of overall lives,
    and experience strong desires for better future and society. In this study,
    ‘generous sharing that shares personal heritages and social benefits’ is analyzed
    as a core category; it shows that sharing of wealthy major donors i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generosity practice based on moral self-benefiting rather than
    complete altruistic characteristics or self-sacrificial characteristics. The process
    analysis reveals that it has the following stages: first, initial giving by exposure to causes or requests; second, routine practice of giving; third, evolution of practice
    of giving with gradual expansion in quantities and qualities; and fourth, living
    with giving. In the process, the following four types are identified: devoted
    wealthy donors for sharing, wealthy donors practicing sharing in daily life,
    wealthy donors practicing sharing with learning on external stimulus, and
    wealthy donors practicing sharing on empathy.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both
    meanings of identifying and developing a theory on the evolving process of
    wealthy major donors' sharing live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results in
    cultivating and developing potential wealthy major donors in Korea.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정보가 풍부하고, 내용이 명확하게 정리되어 있어 과제를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매우 추천할 만한 자료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8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