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안드라고지(평생학습학)로서 전통 부학(婦學)의 재조명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5 최종저작일 2006.01
23P 미리보기
여성안드라고지(평생학습학)로서 전통 부학(婦學)의 재조명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성인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Andragogy Today / 9권 / 4호
    · 저자명 : 고요한

    목차

    서 론 : 여성의 존재론적 이해
    전통 부학의 의미 및 내용 분석
    여성 안드라고지(평생학습학)로서 전통 부학
    전통 부학 재조명의 의의
    참고문헌

    초록

    근대 산업화는 여성의 경제참여, 참정권 등에 있어 전향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이는 전통
    적인 여성교육에서조차 예외가 아니었다. 우리나라 여성들에게 평생학습의 원형이랄 수 있
    는 전통 부학(여유사행)은 여성의 본유성에 기반한 교육이며 지속가능한 가치기반의 교육이
    론으로 손색이 없었다. 그러나 오늘날 ‘커리어우먼, 페미니즘, 트랜스 섹슈얼, 여권’ 등의 도
    그마로 인해 이같은 전통 부학은 현대성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철저히 외면당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방법을 통하여 전통 부학의 이념과 방법을 여유사행(女有四行)의 구
    조 안에서 고찰하고, 이를 여성안드라고지(평생학습학)의 원형으로 재발견하고자 한다. 언제
    나 시대적 상황은 교육의 내용과 형식을 규정짓는 조건을 제공해 왔다. 여성교육도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이같은 시대적 상황으로부터 자유로운 그리고 여성성에 기반을 둔 교육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여성은 단순히 사회적 필요에 의하여 기능하는 존재
    로 전락하고 말 것이다.
    따라서 본유의 여성성에 기반을 둔 보편적 교육이론의 가능성과 당위성을 탐색하고 이
    를 교육에 적용함으로써 현대 여성이 주체적 존재자로 살아가도록 해야만 한다. 이것은 오
    늘날의 여성들에게 인습적 도덕관과 여성 평생교육을 강요하자는 것이 결코 아니다. 오히
    려 급격한 산업화에 의해 망실(忘失)된 아름다운 여성성을 복권(復權)시키는 방법이 될 것
    이다.

    영어초록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hat find identity and rightness of education of
    women in destruction of conventional view of womanhood since
    industrialization within traditional Bu-hak(부학). Industrialization have
    made women take part in industrial society, brought change that is in
    suffrage, education bloc etc.. and this was not exception even traditional
    education of women. But, traditional Bu-hak's education is doing fill sense
    as typical woman Andragogy. Traditional Bu-hak based on originality is no
    inferiority to education theory of continuous value base. But, today, dogma
    of 'career woman, feminism, transsexualism' and so on is doing outward
    appearance party for reason that such traditional Bu-hak does not coincide
    in modernity.
    This research intends to investigate traditional Bu-hak's ideology and
    method through analysis four Manners for Women(女有四行), and
    rediscover this in the meaning of woman Andragogy's archetype. Situation
    of times had offered condition that define contents and form of education
    always. Education of women is unexceptional. But, education of women
    must free from such situation of times, if do not consider necessity of
    woman education based on originality, women degraded by existence that do function by social necessity. Therefore, we must search possibility of
    general education theory and rightness that allow woman originality and
    must do so in education practice, finally make woman live in subjective
    Being.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내용과 함께 과제에 적용 가능한 내용이 많아 도움이 되었습니다. 과제에 바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러웠습니다. 감사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Andragogy Toda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