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Attitudes toward Loss of Hearing Questionnaire (ALHQ)를 이용한 난청인의 심리적 평가의 타당성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11.01
9P 미리보기
Attitudes toward Loss of Hearing Questionnaire (ALHQ)를 이용한 난청인의 심리적 평가의 타당성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 수록지 정보 : 청능재활 / 7권 / 1호
    · 저자명 : 조병해, 신은영, 김진숙

    목차

    "INTRODUCTION
    MATERIALS AND METHODS
    RESULTS
    DISCUSSIONS
    REFERENCES"

    초록

    청력손상은 소리를 듣는 기관의 장애로 잘 듣지 못하는 현상을 의미하며, 청각장애는 청력손상으로 발생하는 의사소통 및 사회 · 정서적 장애를 의미한다(ASHA, 1981).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는 용어로 2001년 세계보건기구(WHO, World Health Organization)는 1980년대 기존의 정의와 비교하여 신체기능과 구조의 결함을 ‘손상(impairment)’으로 기존의 장애(disability)는 ‘활동제한(activity limitation)’으로 기존의 핸디캡(handicap)은 ‘참여제약(participation restriction)’으로 변경하면서 장애란 용어를 손상, 활동제한, 참여제약을 모두 총칭하는 의미로 정의하고 있다(WHO, 1980; 2001). 이는 기존 1980년 장애분류와 비교할 때 의학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을 모두 수용하고자 하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도 ‘장애’라는 용어는 일반적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청력손상으로 발생하는 의사소통 및 사회·정서적 장애를 포함하는 의미로 ‘장애지수’라는 용어를 사용하고자 한다. 청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순음청력검사, 어음청력검사, 전기 생리적 청력검사 등 다양한 주관적·객관적 방법이 있지만 이러한 방법은 개인의 청력상태의 특성과 그에 따른 장애지수를 측정하는데 적절하지 못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utman et al., 1987; Marcus-Bernstein, 1986).

    영어초록

    "Attitudes toward Loss of Hearing Questionnaire (ALHQ) designed by Brooks(1989) was interpreted to Korean in order to provide Korean psychometric evaluation data. For validating the results and possibility of clinical utilization, the analysis method was adapted from Saunders & Cienkowski(1996) who divided five reliable scales of 24-questions version of ALHQ: 1) Social Emotional Impact of Hearing Loss (SEI), 2) Lack of Acceptance/Adjustment to Hearing Loss (LAA), 3) Perceived Absence of Support from ignificant Others (PASSO), 4) Hearing Aid Stigma (HAS), 5) Awareness of Hearing Loss (AHL). 104 hearing impaired Korean participated and completed the questionnaire. Scoring method 1 and 2, giving 1 and 2 for the positive response, respectively, were used. All five scales were scored such that a positive response, and consequently a higher score, means a poor attitude toward hearing loss. Cronbach's α were .471~ .693 and .368~ .628, for scoring method 1 and 2, indicating somewhat low reliability. The correlation of the sca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all scales. Pure tone audiometric data explained little about the variance in scores. Right ear pure tone averages of 0.5~4 kHz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I scores and SEI score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otal ALHQ score, LAA and SEI. 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marital status, period of wearing hearing aid did not give any influence over the scores. Conclusively, the interpreted ALHQ is a potentially useful clinical tool for aural rehabilitation and counseling, if the personality data are added and more studies are conducted with more participants. However, it is suggested to develop Korean questionnaire to overcome interpreted English questionnaire.
    KEY WORDS : Attitudes toward Loss of Hearing Questionnaire (ALHQ), Aural rehabilitation, Counseling, Hearing impaire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청능재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