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제도적 환경변화에 대한 사회복지관의 인식과 대응에 관한 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10.11
30P 미리보기
제도적 환경변화에 대한 사회복지관의 인식과 대응에 관한 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회복지행정학 / 13권 / 1호
    · 저자명 : 조미형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 환경변화에 대한 사회복지기관의 인식과 대응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환경변화는 사회복지제도의 변화로 정의하였으며, 구체적으로 2005년 지방분권화에 따른 사회복지사업 지방이양, 2006년 바우처 방식의 사회서비스제도 도입, 2008년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실시를 포함하였다. 기관의 인식은 인지된 환경불확실성, 환경변화에 대한 이해정도, 위협으로 인식하는 정도로 구분하였다. 분석을 위해 2009년 11월 6일 한국사회복지관협회 CEO 워크샵 참석기관 193개소를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지 154부 중 148부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 이전에 설문지 개발을 위해 6명의 기관장 및 의사결정권자를 대상으로 인터뷰 조사를 하였다. 사회복지환경의 인지된 불확실성은 높았으며, 사회복지사업 지방이양을 가장 위협적인 변화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대응정도의 평균값은 ‘적극적’에 못 미치는 점수로 나타났다. PLS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환경인식에 있어서는 환경변화에 대한 이해정도가 높을수록 인지된 환경불확성이 높아지지만, 위협으로 인식하는 정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럼에도 환경변화에 대해 위협으로 인식하는 기관일수록 대응에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경쟁적인 환경 속에서 사회복지조직의 변화․적응에 대한 압박감은 더욱 가중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엔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perceptions and responses toenvironmental changes. Environmental changes are defined as changes of social welfare institutions, with specific examples being the local devolution of social services in 2005, the introduction of the voucher system to social services in 2006, the implementation of national long-term care insurance in 2008, and the change after transfer of power in 2008.The subject of this study is multi-purposes community-based social service centers. On November 6, 2009, a survey was made at the CEO workshop organized by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Out of 193 places, 148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the response rate was 76.7%.Before the survey, six executives were interviewed for development of the questionnaires. Data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the Partial Least Squared method.The key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cal devolution of social services was perceived as the most negative and threatening. Second, their response to such environmental changes did not appear ""active level."" Third, the analysis of sub-dimensions of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al changes, indicated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reats, the more active responses. In addi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awareness of the environmental changes was positively significantly related to Perceived Environmental Uncertainty (PEU), while both the awareness and PEU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threats.This study indicates that organizational responses have been passive, even if there have been serious concerns about environmental changes at policy levels among social service organizations.Shortly, organizational innovation was insufficient, even under the severe environmental change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empowerment for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is required for both better awareness of environmental changes and more responsive organizational innovation.Key words: Environmental changes, Perceived Environment Uncertainty (PEU), response, organizational structure, social service organiz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이 자료 덕분에 ,복잡했던 과제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실질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완벽한 자료였습니다. 매우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회복지행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