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창의적 문제해결(Creative Problem Solving) 모형 기반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의 효과성 분석 :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중심으로

29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7.06
29P 미리보기
창의적 문제해결(Creative Problem Solving) 모형 기반 초등학교 사회과 수업의 효과성 분석 :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공학연구 / 23권 / 2호
    · 저자명 : 이종연, 구양미, 진석언, 서정희, 고범석

    목차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Creative Thinker 프로그램의 설계 및 개발
    IV. 연구 방법
    V. 연구 결과
    VI.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정규 사회과 수업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고자 개발된 일명 ‘Creative Thinker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Creative Thinker 프로그램은 기존 사회과 학습목표를 수용하면서 창의적 문제해결(Creative Problem Solving: CPS) 모형을 기반으로 5학년 2학기 9개 소단원을 재구성한 것이다. 또한 교사와 학생들의 단원별 CPS 6단계 활동을 지원하는 온라인지원체제가 개발되어있어, 온․오프 연계 버전 및 오프라인 버전 중 상황에 맞게 선택하여 운영할 수 있다.Creative Thinker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을 위해 서울 소재 S초등학교는 실험집단으로, N초등학교는 통제집단으로 참여하였다. 실험집단 5학년 3개 반(온라인 그룹)에는 Creative Thinker 프로그램 온․오프 연계 버전이 적용되었고, 2개 반(오프라인 그룹)에는 오프라인 버전이 적용되었다. 통제집단 1개 학급에는 기존 사회과 수업이 실시되었다. 학기 시작 전, 본 연구에 참여한 3개 그룹 학생들 모두 사전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받았다. 검사 후, Creative Thinker 프로그램 9개 소단원을 포함한 5학년 2학기 사회과 수업을 진행하였고 모든 수업을 완료한 후, 사후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와 사회과 학업성취도 검사를 받았다. 사전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공변량으로 그 사후 점수에 대해 공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온라인 그룹의 점수가 가장 높고, 오프라인 그룹, 통제그룹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과 성취도에서는 3개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즉, Creative Thinker 프로그램은 창의적 문제해결력을 신장시키는 동시에 기존 7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사회과 수업 목표도 충족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온라인지원체제를 활용하는 것이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에 훨씬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Creative Thinker Program whichhad been developed to enhance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in social studies for 5th graders.Creative Thinker Program was composed of 9 units reorganized by Creative Problem SolvingModel. In each module, teacher was supposed to present a problem and to ask questions tofacilitate students' creative problem solving. Students were mostly doing group activities relatedto creative problem solving. A unique online support system was developed to assist teacher'sand students' six-step activities to solve problem in each unit.Two elementary school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one school as an experimental groupand the other as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two treatmentgroups, online treatment group and offline treatment group. Online treatment meant that thefull version of Creative Thinker Program was implemented. It was applied to three 5th gradeclasses from the experimental group. Offline treatment meant that the limited version of theprogram was implemented and it was applied to two 5th grade classes from the experimentalgroup. The full version of Creative Thinker Program utilized full options of the online system The limited version was the same as the full version except that only teachers were capable touse the online system at the very first step of each unit, presenting a problem situation. Thecontrol group had been taught the same units based on the conventional curriculum of socialstudies. Before beginning the semester all participating students had been pretested their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had studied all the social study curriculum for the semester including the nine units for two months. After completion, the students took a posttest to measure their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nd an achievement test in social studies.Significant difference in creative problem solving skills among 3 groups were found even aftercontrolling its posttest scores based on its pretest scores. Online treatment group obtained thehighest score among three groups, offline treatment group the second highest score, and control group the lowest score. Creative Thinker Program was proven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students' problem solving skills and it was most effective when all options of the online support system were utilized. There was found little difference among the achievement scores of 3 groups. It Implied that Creative Thinker Program was effective to increase students' problem solving skill and it didn't disturb to increase domain knowledge.Key words : creative problem solving, problem solving, creativity, online PBL, blended learning, online support system, social studie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공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