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민주평화론 : 논의의 현주소와 동북아에서의 민주평화 담론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1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9.09
21P 미리보기
민주평화론 : 논의의 현주소와 동북아에서의 민주평화 담론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21세기정치학회보 / 19권 / 2호
    · 저자명 : 김재천

    목차

    I. 서론
    Ⅱ. 자유주의 국제관계이론으로서의 민주평화론
    Ⅲ. 민주평화 논의의 현주소
    Ⅳ. 동북아 안보와 한반도 평화의 민주평화 담론
    V. 결론을 대신하여: 구성주의로서의 민주평화론과 민주평화론의 수용

    초록

    민주주의 국가들 간의 차별화된 전쟁부재 현상을 주장하는 민주평화론(Democratic Peace Theory)은 냉전의 종식과 함께 서구 자유주의 국제관계이론(Liberalism)의 핵심으로 부상했고, 클린턴(Clinton) 행정부의 민주주의 확장정책(Enlargement)의 이론적 기반과 조지 W 부시 행정부의 테러와의 전쟁(War on Terror)의 명분을 제공해 주었다. 전쟁을 국제관계의 ‘자연적 상태(natural state)’로 규정하고 적절한 세력균형(Balance of Power)의 유지를 통해 전쟁을 예방해야한다는 현실주의(Realist) 국제관계이론의 인식과는 달리, 민주평화론은 자유민주주의를 지구적 차원으로 전파하고 안정적인 자유민주주의 국가의 수를 증가시켜 지속 가능한 국제평화를 구축할 수 있다고 설파한다. 민주평화현상을 설명하는 기존의 이론은 구조적/제도적 해석과 문화적/규범적 해석, 두 범주로 분류된다. 민주주의 구조/제도와 문화/규범의 상호작용을 강조한 다수의 최근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민주평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발전은 여전히 취약한 상태이다. 민주평화 ‘현상(phenomenon)’과 민주평화 ‘이론(theory)’의 불균형과 민주평화론의 이념적 성향은 동북아와 국내 학계의 생산적 민주평화 담론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대다수의 국내 학자들은 민주주의 정착이 궁극적으로 동북아와 한반도의 안보환경을 개선할 기제로 작용할 가능성은 부정하지는 않지만, 역내에 팽배한 민족주의와 취약한 안보구조로 인해 당장은 민주평화가 동북아와 한반도에서 발생하기 어렵다고 진단하고 있다. 국가간의 신의와 불신이 과거 상호작용의 성격에 의해 형성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민주평화 현상의 인과적 경로와 과정을 추적하기 위해 구성주의적 시각이 필요하다.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본다면 민주평화론은 철칙이 아니라 민주국가의 수가 증가하고 민주주의가 성숙해질수록 평화적인 국제관계가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확률적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주의적 시각은 전향적인 민주평화담론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영어초록

    As with the demise of Cold War international order the Democratic Peace theory has not only emerg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Liberal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but also has become the central pillar on which Clinton’s Enlargement policy as well as Bush’s War on Terror are based. Contrary to most of Realist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ies that assume war is ‘natural state’ of international relations and that maintenance of proper ‘balance of power’ discourages wars from taking place, Democratic Peace theory asserts that establishing sustainable peace is possible through propagating stable liberal democracies worldwide. Arguably, there are two strands of theories to Democratic Peace phenomenon: institutional/structural interpretations and normative/cultural explanations. Despite a number of scholarly attempts to synthesize these two groups of theories, dyadic phenomenon of Democratic Peace still lacks convincing theoretical explanations. Asymmetry between Democratic Peace ‘phenomenon’ and Democratic Peace ‘theory’ has discouraged scholars outside Western academic circle from accepting Democratic Peace premise. Although most of scholarly works assessing possibility of establishing Democratic Peace in Northeast Asia and Korean peninsula do not deny positive effects of expansion of democracy in the region, they conclude that prevalent nationalistic sentiments and vulnerability of region’s security structure prevents Democratic Peace from taking place in the region. Constructivism is well suited-to trace the processes that lead to development of Democratic Peace phenomenon, because enmity as well as amity between countries results from previous interactions. Constructivist perspectives help understand Democratic Peace not as iron law but as probabilistic statement. Such constructivist interpretation of Democratic Peace would contribute a more level-headed and productive discourse on Democratic Peace in Northeast Asia and Korean peninsula.

    Key Words: Democratic Peace, Northeast Asia, Peace in Korean Peninsula, Theory and Discourse, International Relations Histor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판매자가 제공한 자료는 체계적인 구성으로 되어 있어 복잡한 내용을 과제에 쉽게 활용 할 수 있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좋은 자료들이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21세기정치학회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