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언어와 정치 :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의 사상을 중심으로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0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9.09
20P 미리보기
언어와 정치 : 줄리아 크리스테바(Julia Kristeva)의 사상을 중심으로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21세기정치학회
    · 수록지 정보 : 21세기정치학회보 / 19권 / 2호
    · 저자명 : 박주원

    목차

    Ⅰ. 프롤로그: 20세기 언어적 전환(linguistic turn)에 대한 단상(斷想)
    Ⅱ. 정치와 언어: 화폐, 언어, 무의식
    Ⅲ. 언어와 주체: 말하는 존재 그리고 헤겔의 도입
    Ⅳ. 세미오틱(le sémiotique)과 생볼릭(le symbolique): 라캉의 도입 그러나 라캉을 넘어서
    Ⅴ. ‘시적 언어’의 혁명성? 크리스테바의 언어 정치가 가지는 유물론적 의미와 한계

    초록

    이 글은 20세기 현대정치사상과 철학의 지평에서 제기되었던 언어적 전환(linguistic turn)이 가지는 의미와 한계를 살펴보기 위한 하나의 시론적 작업으로서, 최근 마르크스와 라캉과 프로이트를 독자적인 방식으로 결합하려 시도하고 있는 크리스테바(J. Kresteva)를 통해 20세기 이후 제기되어 온 ‘언어’의 문제가 어떤 의미에서 ‘정치적’일 수 있는지의 근거를 검토해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 글은 크리스테바에게 있어 언어의 실천성이란 언어가 의미를 재현하고 생성하는 상징의 질서이자 권력이라는 점을 단순히 확증하는데 놓여있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언어의 의미화과정 내부에 억압과 동시에 그것을 거부하고자 하는 충동, 반항의 심리와 신체가 내포되어 있다는 점을 제안한데 있다고 보았다. 그러한 의미에서 그녀에게 언어라는 상징의 질서는 다만 벗어날 수 없는 기성권력의 닫힌 구조가 아니라 거부와 반항 충동의 역동적 장소일 수 있었다. 이렇게 본다면, 그녀의 언어이론은 단순히 의사소통에의 참여를 활성화하려는 여타의 담론정치 방향과는 정 반대의 의미를 가진다. 그러한 담론정치들에서 언어란 실재를 반영하는 도구이며 상호 소통을 통해 도달하려는 지점은 ‘합의’의 방향이라면, 크리스테바에게 있어 상호텍스트 과정은 결코 합치될 수 없는 경계에 대한 인식이며 그에 대한 ‘반항’이기 때문이다. 바로 이 점이야 말로 그녀의 언어이론이 소쉬르와 라캉과 구분되는 지점이자 다른 자유주의 담론 철학이나 소통이론과 구분되는 정치적 지점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녀는 자아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사회의 질서를 구성하는 상징의 정치와 의식 ‘언저리’에 인간의 욕동이, 에너지가, 충동이 무의식적인 욕망으로 남아있다고 봄으로써 기성의 언어구조/상징 질서를 넘어설 수 있는 혁명적 실천의 근거를 찾고 있었다. 만일 그것을 들추어내는 과정이야말로 언어가 하나의 의미로 구성되고 또 다른 의미로 재구성되는 과정의 진정한 속내라면, ‘언어적 전회’는 일면 인간의 주관성과 사회성의 상호관계 속에서 전복의 정치를 구성하려는 하나의 시도였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 trial work to review the meaning and limitation of 'linguistic turn' in 20th century political thought, has a purpose in which context a problem of language can be a problem of the political through the reinterpretation of Kristeva's theory of Language. In this article, the praxis of language in Kristeva means that language does not only verify that language is the order and power of symbol which represent and produce the meaning, but has that in a signifying process, a dialectical process between the symbolic and the semiotic through the negation, both oppression and an impetus to reject the oppression. The semiotic means what can be posited as preceding the imposition of language, in other words, the already given arrangement of the drives in the form of facilitations or pathways, and secondly the return of these facilitations in form of rhythms. She redefine the semiotic overflows its symbolic boundaries. In this context, her argument has the opposite meaning to established power system. In the established power structure, purpose of 'communicative action' through the language is for making agreement. On the opposite, her argument in "linguistic turn' is that intertextuality process is the recognition of border which can not be articulated and 'resistance' to the articulation. This is the divergent point that differentiate Kristeva's theory of Language from others including those of Lacan and liberalist discourse theory. She thought that, in the border of the politics of symbols and consciousness, there is passion, energy, impetus as a unconsciousness. Therefore, she tries to set up revolutionary praxis which overcome established order of language/symbolic system. In her theory, "linguistic turn" could be the politics of overthrow through the interaction of subjectivity and society.

    Key Words: J. Kresteva, linguistic turn, subject, money, language, the unconscious, politics, J. Lacan, G. Freud, G. W. F. Hegel, K. Marx, intertextuality, signifiance, pulsion, poetic language, revolution, materialism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제공하는 자료는 질이 매우 높고,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인상적입니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활용하기 편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21세기정치학회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