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교회의 문제와 과제 : 장기적 교회성장을 위하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43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8.01
43P 미리보기
한국교회의 문제와 과제 : 장기적 교회성장을 위하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개혁주의교회성장학회
    · 수록지 정보 : 개혁주의교회성장 / 3호
    · 저자명 : 신경규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한국교회 문제와 과제분석을 위한 이론적 기초
    Ⅲ. 한국 교회 문제의 현재상황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사회적으로 많은 비판에 직면한 한국기독교와 교회는 심각한 위기에 봉착해 있다. 이 위기의 근저에는 한국교회와 기독교인의 각종 병폐에서 비롯된 것이다. 본고에서는 한국교회의 문제분석을 위해 철학에 있어서 존재론적 개념인 개체화와 참여, 역동성과 형식, 생동성과 지향성, 그리고 자유와 운명이라는 개념을 사용한다. 또한 한국교회의 문제를 자기중심주의, 형식주의, 권위주의, 세속주의라는 네 가지 문제점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자기중심주의 일반적인 특징으로는 자신의 것만 모으려고 하지 주려고 하지 않으려는 성향, 모이기는 잘 하지만 하지 흩어져 이웃을 돌보려고 하지 않으며, 자기주장을 강하게 하고 남의 의견을 존중해 주지 않는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한국교회의 이러한 자기중심주의는 개교회주의를 만연하게 하여 자기교회만 관심을 갖고 그 외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게 한다. 또한 자기중심주의는 극심한 교파분열을 초래하여 한국교회의 진정성을 약화시키게 하며, 사회참여에 소극적이어서 정의를 실현하고 어려움을 당한 이웃들을 보살피는 일을 등한 시 하게 만들고 있다.
    둘째, 형식주의는 신앙의 내용보다 형식을 강조하고, 자신의 모적 모습을 과시하려는 바리새인적 태도를 보인다. 형식주의로 인해 한국교회는 예배가 형식화하여 예배를 통한 역동성과 하나님 체험이 약화되고 있다. 이러한 형식주의는 신앙행위의 형식화 하여 이원론적 사고를 팽배하게 하고 신앙과 행위의 불일치로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형식주의는 교회제도의 형식화 하여 교회를 직제중심구조로 변모시켜 교회 내 계층 구조를 심화시켰다.
    셋째, 권위주의는 인위적 권위 만들기로 나타나 교회지도자들이 비상식적인 권위과시행태를 보이며 교인과 목회자 사이를 유리시키고, 영적 성숙과 인격적 성장을 도외시하며 목회자들 사이에 외형적 학위를 추구하여 권위를 만들려는 경향이 만연해 있다, 정상적인 상식을 무시하는 경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권위주의로 인해 한국교회에 발생하는 문제는 목회자의 권위의식, 담임목사 중심의 교회구조, 교회의 계층화, 교회갈등 등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넷째, 세속주의는 한국교회가 성장제일주의를 지향점으로 추구하면서 교인 수를 중시 여기는 경향과 이어지는 물량주의적 성향, 교인들이 세상 속에서의 생활수준을 교회로 가져 옴으로써 가난한 자들이 배제되는 귀족주의, 목회자들을 비롯한 교회지도자들의 비윤리성의 문제를 야기한다. 구체적으로 세속주의가 일으키는 한국교회의 문제는 대교회주의로서 그것이 목회자들의 입신양명사상과 결부되어 과도하게 큰 예배당 짖는 경쟁으로 이어지고, 도덕성의 결여로 인해 부정부패를 비롯한 여러 가지 개인적, 사회적 문제를 일으켜 사회로부터 교회가 지탄받는 상황을 야기하고 있다.
    이론적으로 분석해 볼 때 이러한 한국교회의 문제는 ‘개체화’로의 지나친 편향성으로 인해 함께 일하고 사회적 연대 속으로의 ‘참여’가 결여되고, ‘형식’에 치우쳐 ‘역동성’을 상실하고 있으며, 외적성장이라는 ‘지향성’의 오류로 인해 ‘생동성’이 약화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한국교회는 개체화과 참여의 균형을 이루려고 힘써야 하고, 역동성을 유지, 상승시키는 형식과 제도를 만들어야 하며, 외적 성장이라는 지향성을 수정하여 생동성을 회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선교만이 한국교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궁극적 방안이다.

    영어초록

    Now is a very important time for Korean churches in that non-Christian Koreans are very critical of Christians and Christian churches. This crisis is due to several negative aspects of Korean churches. Some ontological concepts of Tillich will be applied in this paper to analyze problems within the Korean church, which are individualization and participation, dynamics and form, and vitality and intentionality. With these theoretical bases four factors are categorized as problems of the Korean church in this paper: self-centeredness, formalism, authoritativism and secularism.
    First, general characteristics of self-centeredness are behaviors that include keeping one's own things instead of giving to others, and gathering together for fellowship but not scattering out into the world as Christians, and insisting their own opinions instead of listening to other's. These behaviors of self-centeredness make Korean churches and Christians care only for their own churches and not concern for neighboring local churches and the people in that community. Self-centeredness of Korean churches leads to extreme divisions of denominations, so that veracity of the gospel which Korean churches are preaching is suspicious to non-Christian Koreans. This results in minimal social service by Korean to the community.
    Second, Formalism stresses only form instead of the content of Christian belief, causing many Korean Christians to exhibit their behaviors like Pharisees. This formalism weakens the dynamics of worship and diminishes one's experience with God. This also makes Christian behavior rigid, and leads Christians into the thought of dualism: dividing Christian beliefs from actions. Formalism also makes church organization strongly hierarchical institutionalized.
    Third, authoritativism leads church leaders to mistakenly assign leadership roles to spiritually immature people who can project an appearance of authority. These immature leaders portray their worldly credentials in an effort to justify their position, but this only results in increasing the division between ministers and church members. This characteristics hinders Christians from becoming spiritually mature, enriching their characters as true Christians, and causes to ignore normal sense. Due to this authoritativism several problems arise such as authoritative mentality, pastor-oriented church structure, rigid hierarchies of church, and church conflict.
    Fourth, the cause of secularism is due to the pursuit of external church growth. Secularism makes several problems such as stressing on numbers of church members, materialism, and also leads anti-ethical behavior of church leaders. This makes church to be nobility-centered organization which hinders the poor from attending church as its members. Specifically speaking, mega-church movement makes Korean churches to become secular ones. And it, being mixed with pastor's idea of success in life, leads the competition of churches and pastors to build huge church buildings. Secularism combined with non-ethical behavior of church leaders also leads non-Christian's criticism to Korean Christianity and churches.
    Theoretically speaking, these problems of Korean churches which inclined extremely to 'individualism' and lack of 'participation' makes them ignore to serve neighbors and society, be deficient of social solidarity, lose 'dynamics' due to the inclination to 'form.' Korean church's 'intentionality' to external growth makes them lack of 'vitality.' Therefore, Korean churches have tasks to try their best to balance individualization and participation, to make forms sustain and enhance dynamics, and to correct their errors of intentionality of external growth to recover their vita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깊이 있는 설명과 다양한 예시 덕분에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유익한 자료가 계속 등록되기를 바랍니다!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