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non-ai
판매자가 AI를 사용하지 않은 독창적인 자료

유아용 온라인 컨텐츠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평가도구 개발 예비연구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7.01
28P 미리보기
유아용 온라인 컨텐츠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평가도구 개발 예비연구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린이미디어연구 / 6권 / 1호
    · 저자명 : 황해익, 김나리

    목차

    Ⅰ. 서 론
    II. 유아용 온라인 컨텐츠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 및 원리 고찰
    III. 유아용 온라인 컨텐츠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평가도구 시안 개발
    III. 유아용 온라인 컨텐츠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평가도구 시안의 적절성 검토
    V. 논의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용 온라인 컨텐츠의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설계의 지침이 되는 평가준거와 도구 시안을 개발하고, 개발된 시안의 평가영역에 대한 적절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기존의 유아교육용 소프트웨어 평가 및 유아용 웹사이트 평가 양식들을 분석하여 작성한 기초안에 대하여 전문가 면담 및 2차례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2개 영역, 9개준거, 59문항의 유아용 온라인 컨텐츠의 인터페이스 디자인 평가도구의 시안을 개발하였으며, 2회의 델파이 조사에 참여한 패널 및 평가도구의 사용자인 개발 전문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3차 전문가 조사에서는 제시한 컨텐츠의 평가도구 적용 후 적합성에 대하여 적용하도록 하여 평가도구의 타당도, 신뢰도 및 문항의 양호도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평가도구에 포함되어 있는 대부분의 평가문항들은 타당하고 신뢰로운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essential tools to guide the ‘Children’s online contents
    designing,’ and verify its compatibility. Interface Design is important essential to be evaluated from
    the ‘Children’s on-line contents designing’, which is mainly focused on Children Education. Up to now,
    most of the software and websites designed for Children’s Education was mainly evaluated on its
    contents. Therefore this research was done to include characteristics of its Communication Media, which
    directly affects children’s education, into the Interface Design Evaluation.
    The following are the process of the research and its result.
    First, I developed a tentative plan by reviewers of literatures and exis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oftware evaluation and children’s website evaluations. Also, after interviewing professionals and after
    two examinations of the Delphi research I developed a tentative plan for an 'Evaluation Tool for Interface
    Designing of Children’s On-line Contents' containing 3 categories, 9 sub categories, 59 items. The 3
    categories are divided in to ‘Compatibility of Supporting Action’, ‘Convenience of Using Structure’ and
    ‘Efficiency of Expressional Media’. The 9 sub categories are, ‘self-direction of action’, ‘supporting of
    learning objectives’ and ‘Compatibility of technique’ in Compatibility of Supporting Action’,
    ‘Consistency’, ‘Navigation’, and ‘Supporting User’ in ‘Convenience of Using Structure’ and ‘Shape of
    Screen Composition’ and ‘Function of Visual Elements’, of ‘Interest of Multimedia Elements’ in
    ‘Efficiency of Expressional Media’.
    Secondly, to understand the compatibility of 'Evaluation Tool for Interface Desining of Children’s
    On-line Contents' I proceeded with a third examination of the Delphi research and verified its
    reasonability, reliability, and satisfactory.
    In the third research, the final evaluation tool was applied to evaluation real contents and asked the
    panels and developer as directional evaluator of the evaluation tool who were involved in the first two
    examinations to answer our survey of its compatibility. Their answers were the following.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we analyzed each item's distributions of answers,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essential tools to guide the ‘Children’s online contents
    designing,’ and verify its compatibility. Interface Design is important essential to be evaluated from
    the ‘Children’s on-line contents designing’, which is mainly focused on Children Education. Up to now,
    most of the software and websites designed for Children’s Education was mainly evaluated on its
    contents. Therefore this research was done to include characteristics of its Communication Media, which
    directly affects children’s education, into the Interface Design Evaluation.
    The following are the process of the research and its result.
    First, I developed a tentative plan by reviewers of literatures and exis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al
    software evaluation and children’s website evaluations. Also, after interviewing professionals and after
    two examinations of the Delphi research I developed a tentative plan for an 'Evaluation Tool for Interface
    Designing of Children’s On-line Contents' containing 3 categories, 9 sub categories, 59 items. The 3
    categories are divided in to ‘Compatibility of Supporting Action’, ‘Convenience of Using Structure’ and
    ‘Efficiency of Expressional Media’. The 9 sub categories are, ‘self-direction of action’, ‘supporting of
    learning objectives’ and ‘Compatibility of technique’ in Compatibility of Supporting Action’,
    ‘Consistency’, ‘Navigation’, and ‘Supporting User’ in ‘Convenience of Using Structure’ and ‘Shape of
    Screen Composition’ and ‘Function of Visual Elements’, of ‘Interest of Multimedia Elements’ in
    ‘Efficiency of Expressional Media’.
    Secondly, to understand the compatibility of 'Evaluation Tool for Interface Desining of Children’s
    On-line Contents' I proceeded with a third examination of the Delphi research and verified its
    reasonability, reliability, and satisfactory.
    In the third research, the final evaluation tool was applied to evaluation real contents and asked the
    panels and developer as directional evaluator of the evaluation tool who were involved in the first two
    examinations to answer our survey of its compatibility. Their answers were the following.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we analyzed each item's distributions of answers,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항상 최신 정보를 반영하고 있어 믿을 수 있습니다. 특히, 각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과 명확한 설명 덕분에 복잡한 개념도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에게도 강력히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린이미디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8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5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