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폐증 유병율 연구동향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7.01
18P 미리보기
자폐증 유병율 연구동향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발달장애학회
    · 수록지 정보 : 발달장애연구 / 11권 / 1호
    · 저자명 : 박명희

    목차

    Ⅰ. 서 론
    Ⅱ. 자폐증 진단기준과 유병율에 관한 선행연구
    Ⅲ. 유병율 증가원인에 관한 다양한 해석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초록

    이 연구는 최근 장애인에 대한 특수교육법 국회 퉁과와 관련하여 향후 자폐증 역학조사를 위해 자폐증 유병율 조사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문헌조사를 통해 정리하였다.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1960년대 초기 연구로부터 최근까지 자폐증의 유병율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그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못하고 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인정하고 있는 것은 다양한 표현형의 스펙트럼 관찰로 인한 혼란, 진단기준의 변화, 진단방법의 과학적 발달, 국가 차원의 지원과 함께 높아진 사회적 인식 등이다. 향후 자폐증 유병율 조사를 위해서는 정확히 정의되고 대표성 있는 대규모 모집단을 대상으로 엄격하고도 표준화된 사정 및 진단법을 사용하여 최근 높아지는 유병율이 단순히 방법상의 차이 때문인지 아니면 실제로 발병율이 높아지고 있는지를 조사해야 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a review of epidemiological studies of autism disorder. Autism is a disorder characterized by impairments in social interaction, delays in communication, and restricted and repetitive patterns of behaviors and interests. Epidemiological surveys of autism started in the mid-sixties in England by Lotter(1966), he reported a prevalence of 4.5 per 10.000. Subsequent estimates ranged from 4 to 5 per 10,000 in the 1970s, from 2.5 to 16 per 10,000 in the 1980s, from 5 to 31 per 10,000 in the 1990s, and about 30-50 per 10,000 in the 2000s. A nearly 10-fold increase in prevalence of autism was reported for past 30 years.
    Many investigators have difficulty to identify why prevalence of autims increase so rapidly over time. The majority of recent reviewers of the field have concluded that change in diagnostic practice and criteria, better recognition, and more complete referral over time are the most likely explanations for the perceived increase in autism prevalence over the past 30 years. Another possible factor,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ave no influence on autism prevalence. Whether the observed increase in prevalence in part reflects a true increase in incidence or is totally an artifact of improved recognition and detection combined with a broadening of the diagnostic defition remains to be uncertain.
    Over the next few years, it is necessary for epidemiologists to count cases, look for the time trends of autism prevalence, get a refined estimates of autism incidence, search for genetic markers, and refine existing understanding of risk factors, including environmental exposures that may be contributing to this disorder.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이 자료는 내용의 깊이가 뛰어나고, 주제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인상적이었습니다. 과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여러분께도 추천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발달장애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