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애에 대한 사회적 모델의 의의와 한국사회에의 함의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27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7.01
27P 미리보기
장애에 대한 사회적 모델의 의의와  한국사회에의 함의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 / 6호
    · 저자명 : 김진우

    목차

    1. 들어가면서
    2. 의료적 모델
    3. 장애에 대한 사회적 모델
    4. 사회적 모델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
    5. 사회적 모델의 우리 사회에 대한 함의
    6. 글을 맺으며
    참고문헌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에서 태동한 장애에 대한 사회적 모델을 탐색적으로 한국에 소개하고 이 모델이 한국 사회에 갖는 함의를 살펴보고자 함이다. 장애에 대한 사회적 모델은 장애인이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욕구에 대해 사회가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거나 이를 억압한 결과 장애가 발생한다고 보며, 마이클 올리버(M. Oliver)는 정치경제학의 입장에 서서 사회적 억압을 타파하는 이론적 모델로서 사회적 모델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입장은 사회실재론과 유물론에 입각한 것이여서, 사회명목론 그리고 관념론적 입장에 서 있는 다양한 학자들로부터 그 문제점을 지적받았다. 장애에 대한 문화적 접근이나 신체적․정신적 손상에 대한 사회학적 접근이 그러하다.
    이 연구가 갖는 함의는 크게 정책적, 실천적, 연구방법론적으로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정책적 함의로서는 사회적 모델과 그를 둘러싼 다양한 논의가 갖는 시사점과 준거틀을 바탕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 추진하고 있는 장애인정책의 근저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실천적 함의로서는 장애인복지기관 및 시설에서 수행하고 있는 업무의 내용이 장애인 당사자의 욕구에 대해 얼마만큼 대응하고 있는지, 사회적 모델을 충분히 수용하지 못하는 정책의 연장선상에서 장애인 욕구에 대한 파상적 대응에 불과한지를 비판적으로 살펴볼 수 있다는데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방법론적 함의는 사회적 모델에 입각한 당사자주의가 한국내 기존 연구패러다임이 갖는 당사자(특히 정신지체인) 배제의 풍토가 척박한 연구방법론의 한계에서 출발하는 것이지 장애인 당사자의 정신적 손상에서 연유될 수 없음을 인식하고 종래의 연구 패러다임을 변화시켜야 한다는 필요성을 인식하는데 있다.
    다만, 본 연구가 개인적모델과 사회적 모델로 양분하여 살펴봄으로써 복지국가에서 복지정책을 복지재정의 한계내에서 행정적으로 관리하며 국가가 수용가능한 만큼만 개인적 모델에서 탈피할 수 있음을 역설하는 장애에 대한 행정적 모델에 대한 논의를 포함시키지 못함으로써 논의를 단순화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음을 지적해 둔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social model of disability which has been developed in the UK and to search its implication on Korea disability society. Social model of disability considers disability as 'the results of social failure which is unable to meet the needs of disabled people. M, Oliver standing from the perspective of political economy is in its position and called it social model of disability in contrast to individual model of disability. However, it is based on material viewpoints so that other perspectives such as 'idealism' and 'social nominal standpoints' have argued its short points which overlooked the aspects of culture and reinterpretation of physical/mental impairmen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categorised by three viewpoints: policy, implementation and methodology. First, with regard to policy aspect, this study provides tools to analyse disability policy in Korea currently and historically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model of disability. Secondly, it provides disability service centres and organisation implement their programme tools to self-assess their duties if they are based on disabled people's needs rather than provider-oriented perspective as the extension of government policy paradigm. thirdly, it notifies that academic researches have failed to accommodate the voices of disabled people, particularly people with learning disabilities with a viewpoint of self-representation which is based on social model of disability.
    However, notwithstanding these implications, this study has innately weakpoints in that it does not include administrative model which can explain why and how welfare states manage welfare policy for disabled people within the capacity of welfare budget which should be sustainable and manageable.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too simplified the perspective of disability by omitting the discussion of administrative model, as a result.

    Key words: physical/mental impairments, social model of disability, individual model of disability, cultural aspects of disability, sociological approach of impairm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과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내용이 많아,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장애인복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