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이 경험한 편견의 현상학적 연구 : 중도장애인을 중심으로

(주)학지사
최초 등록일
2015.03.24
최종 저작일
2007.01
39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6,8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서지정보

발행기관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수록지정보 : 한국장애인복지학
저자명 : 박미숙

목차

1. 서론
2. 문헌연구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한국어 초록

장애인은 비장애인의 장애인에 대한 편견으로 인하여 사회로부터 소외되고 고립되어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내부자적 관점으로 장애인의 생활속에서 편견의 의미를 알아보고 편견의 본질을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장애인에 대한 심리재활을 돕고 비장애인의 장애인에 대한 편견의 이해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모두 중도장애인으로서, 이들은 비장애인의 삶과 장애인으로서의 삶을 모두 경험하였기 때문에 장애인에 대한 비장애인의 삶을 좀 더 잘 표현 할 수 있으므로 이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현상학적 방법을 도입하여 중도장애인들의 경험을 좀 더 생생하게 고찰하였다. 장애인에 대한 편견경험을 분석한 결과 혐오스러움, 무시에서 오는 경멸감, 거부감과 고립감, 인정받지 못한 억울함, 동정 받는 수치스러움, 유별나게 보임, 비장애인의 생각 테두리 등으로 구성됨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장애인이 경험한 편견의 구성요소의 본질은 비장애인이 장애인을 자신들과는 다른 동등하지 못한 인격체라는 인식이 존재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초록

The handicapped person has been alienated and isolated from the society due to the prejudice from the norma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prejudice and learn the true nature of prejudice in the handicapped person's life through the insider's perspective. In addition, another purpose is to help the handicapped with psychology rehabilitation and to present fundamental research ,which helps the norm to understand the handicapped person. The chosen participants were midway-handicapped person who have better understanding of both the perspectives of the handicapped and the norm since they have experienced both lives.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y employing the method of phenomenology ,which allowed to see the lives of midway-handicapped person more closely. As a result, it can be concluded that aversion, contempt coming from ignorance, feeling of rejection, isolation, grief coming from non-recognition, humilation coming from sympathy and uniqueness are the main elements occupying the minds of the handicapped person. The essence of these constituting elements shows that the non handicapped person`s recognizes the handicapped person`s different beings.

Keyword : Midway-Handicapped person, prejudice, phenomenology, essence

참고 자료

없음

자료문의

제휴사는 별도로 자료문의를 받지 않고 있습니다.

판매자 정보

마음과 세상을 연결하는 학문의 전당을 꿈꾸며 학지사는 단순히 책을 출판하는 곳이 아니라 인간의 마음을 아름답고 풍요롭게 하는 종합적인 학문 서비스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저작권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찾던 자료가 아닌가요?아래 자료들 중 찾던 자료가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 뮤지컬 베토벤
  • 프레시홍 - 주꾸미
  • 프레시홍 - 주꾸미
장애인이 경험한 편견의 현상학적 연구 : 중도장애인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