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Positive Youth Development의 의미와 정책적 시사점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18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15.03.24 최종저작일 2006.01
18P 미리보기
Positive Youth Development의 의미와 정책적 시사점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 수록지 정보 : 미래청소년학회지 / 3권 / 2호
    · 저자명 : 김진호

    목차

    Ⅰ. 서 론
    Ⅱ. 긍정적 청소년개발(positive youth development)의 개념적 특성 고찰
    Ⅲ. 긍정적 청소년개발의 목표와 작동체계
    Ⅳ. 긍정적 청소년개발이 청소년정책에 미친 영향
    Ⅴ. 긍정적 청소년개발의 활성화를 위한 과제
    Ⅵ. 결 론
    참고문헌

    초록

    청소년의 긍정적인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고, 성공적인 성인기로의 진입을 지원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국가적 과제이다. 그리고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만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청소년을 ‘문제의 주체’가 아니라 ‘잠재력을 지닌 사회적 자원’인 동시에 ‘성인과 함께 사회변화를 이끌어가는 적극적인 존재’로 인식해야 한다는 주장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청소년정책 역시 “청소년문제 예방중심의 정책”에서 “육성․지원중심의 정책”으로 전환하려는 시도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청소년정책 현장에서는 긍정적 청소년개발을 촉진하는 정책적 개입을 위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긍정적 청소년개발’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실정이다. 즉, 청소년들의 긍정적인 성장과 발달을 위해 어떠한 기회들이 제공되어야 하며, 기존의 정책들은 어떻게 재설계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관점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인 관점에서의 청소년개발”의 개념과 작동체계의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 우리나라 청소년정책에 주는 시사점과 이 패러다임이 우리나라 청소년정책 현장에 정착되기 위해 해결해야 될 과제들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적 관점에서의 청소년개발”패러다임은 청소년의 건전한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는 청소년정책에 가이드라인을 제공해주고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긍정적 청소년개발 패러다임이 국민적 공감대를 얻고, 국가공공정책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1)긍정적 청소년개발에 대한 의미의 명확화, 2)긍정적 청소년개발에 대한 부정적 인식에 직면하기, 3)후원자집단 구축, 4)국가정책적 이슈나 제도들과의 연계체계 구축, 5)증거자료의 구축과 과학적 해석, 6)모니터링과 평가체제의 강화, 7)참여기관의 경계설정과 역할의 명확화, 8)공공기관과 사설기관간의 연계협력체계 강화, 9)안정적인 서비스제공 등의 과제들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과제들은 “청소년육성정책”과 “청소년보호정책”의 통합을 시도하고 있는 단계에서 국가청소년정책의 비전과 전략을 수립하는데 적지 않은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영어초록

    Facilitating and supporting positive youth development is the important mission of youth policy. Youth policies in Korea are attempting to redesign themselves to be strategies that promote both positive behavior in youth and the general well-being of all young people while simultaneously preventing negative behavior. This paradigm shift toward positive youth development is closely related to the positive youth development framework, undergirded by the bumper-sticker phrase “problem-free is not fully prepared”. But the overall impact of this paradigm shift is uneven-the importance of it challenged by such stories as youth corrections programs that have been renamed “youth development programs” with no concomitant changes in philosophy, programming or staff practices. And positive youth development movement in Korea did not begin as an academic exercise grounded in theory and research. So, It is needed to circle back and focus energy on identifying meaning and strategies of positive youth development to make it not just a buzzword but a powerful public idea.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meaning and strategies of positive youth development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And key issues to become a powerful public idea are summarized as follows: 1) clarify the message, 2) counter negative public perceptions of youth and of the core youth development messages, 3) build vocal constituencies, 4) connect to popular issues, institutions, and strategies, 5) strengthen and interpret the evidence base, 6) encourage monitoring and assessment, 7) define the full range of roles and actors, 8) strengthen and link public and private support systems for youth, 9)build sustainable local and regional infrastructures for funding, planning, training, advocacy, and network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the issues wer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의 콘텐츠는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지루할 틈이 없습니다. 매번 새로운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어 학습이 즐거워지고 있습니다. 학습 후 실제로 과제나 레포트에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용할 예정입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학지사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래청소년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4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9 오전